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장애학생들을 위한 문제해결 기술․전략과 관련된 국내 연구들을 검토하여 장애학생들의 문제해결 기술에 관한 교수방법을 탐색하고 후속연구들을 위한 연구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총 20편의 국내 선행연구들이 선정되었고, 이 문헌들은 연구대상 및 실험환경, 실험설계, 문제해결 기술 중재프로그램 및 전략유형, 측정도구 및 문제해결 기술요소 등 6가지 분석변인에 따라 분석되었다. 선행연구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연구대상은 지적장애 또는 발달지체 초등학생이 가장 많으며 일반학생을 포함하여 다른 장애유형도 다루고 있다. 실험환경은 주로 학교가 가장 많다. 실험설계 방법으로는 사전-사후 통제집단 설계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고, 문제해결과 관련된 프로그램을 적용한 경우가 많았는데 대부분 연구자가 개발한 프로그램이다. 중재전략 유형은 인지전략을 사용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측정도구는 연구자가 개작한 사회성 검사나 행동관찰을 통해 이루어졌다. 문제해결 기술 관련요소로는 사회성, 사회적 기술을 다룬 연구가 가장 많다. 둘째, 고찰한 20편의 선행연구들은 차재경 등(2007)이 제시한 분석변인을 대체적으로 충족하고 있었고, 대부분 중재효과가 있었으나 중재충실도, 관찰자간 신뢰도, 사회적 타당도를 모두 실시한 경우는 드물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장애학생의 문제해결기술 중재의 질적 확보 및 교수적 함의에 대한 논의를 다루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teaching methods about problem-solving skill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o present research directions for further research. For this purpose, I reviewed about korean studies which is related to problem-solving skills and strategies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A total of 20 previous studies were selected and I analyzed six factors.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udy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or developmental delay was the most common type of other disorders, including general students were also covered. The experimental environment was mainly schools. Experimental design methods pre-post control group design was used most often, problem solving and applying the relevant programs were found in most of the program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Mediation studies using strategy type is the most common strategy, and measurement tools, the researchers adapted social check or through behavioral observations were made. The social problem-solving skills related factors, social skills, dealing with the most frequent research an improvement of problem-solving skills is associated with each of academic skills and social skills, and it can improve their effectiveness. Second, prior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convenience Cha jae-gyeong, et al.(2007) analysis of the proposed variables were generally meets the most effective mediation, but mediation fidelity, inter-observer reliability, if carried out all social validity were rare. Based on the findings in future problem-solving skill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ensure the quality of mediations for the discussion of pedagog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