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STE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Mathematics)영역의 교육 또는 진로정보와 관련한 기회가 충분히 주어지지 않는 장애청소년들을 위해 접근성을 향상시킨 STEM중심 진로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장애청소년의 STEM관련 지식 및 선호, 진로태도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24명의 중·고등학생 장애청소년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사전사후 통제집단 설계를 통해 각 종속변인들의 사전사후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STEM중심 진로교육 프로그램은 STEM분야에 대한 진로 탐색을 목표로 총 12회기로 구성되었으며, UDL(Universal Design forlearning)기반으로 설계 및 실행되었고, 개별적인 접근을 위해 SDLMI(The Self-Determined Learning Model of Instruction)를 함께 실행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집단의 STEM영역 지식 및 선호,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통제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유의미하게 향상되었고, 진로태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STEM중심 진로교육프로그램은 장애청소년들에게 기회균등의 차원에서 STEM영역과 직업에 대한 정보를 탐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으며, 장애청소년뿐만 아니라 모든 학생을 위해 설계되어 STEM분야에 관심이 없던 학생들에게 흥미와 관심을 높여줄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활용될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developed and implemented a STEM-focused career education program for youth with disabilities for equity of opportunity to provide them with STEM-related career information.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students in special classes of middle and high school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and took part 12 members of an experimental group and 12 members of a control group. This study used pre- and post-tests to verify the effect of the STEM-focused career education program and analyzed the differences of the averages in knowledge and interests in STEM areas, career attitude and academic self-esteem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ith an independent sample t-test. SETM-focused career education that consist of 12 session was to increase accessibility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apply to the principle of UDL and SDLMI for individual approach. The result of study, knowledge and interests in STEM areas, academic self-esteem in experimental group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career attitud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STEM-focused career education program in this study provided a chance youth with disabilities to be given and explore the STEM field and jobs on the dimension of equal opportun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