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배경 : 약-D형은 D 항원이 양적으로만 감소된 경우이지만, 부분-D형은 질적인 결손이 동반되므로 혈청에 항-D를 갖거나, 일부단클론성 항체에는 반응하지 않는다. 따라서, 단클론성 항-D 시약으로 헌혈자 RhD 검사를 시행하는 대부분의 적십자혈액원에서는이를 주의한다. 본 연구에서는 부분-D형 14예를 대상으로 4종류의 단클론성 항-D 시약을 사용하여 RhD 혈액형 검사 및 약-D검사의 반응 양상을 분석하였다.방법 : 2002년 10월부터 2003년 4월까지 헌혈자 201,847명의 검체를 대상으로 D 항원 검사 (monoclonal type, Bioscot, UK)를 혈액형 자동분석기(PK-7200, Olympus, Japan)에서 효소법(bro-meli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중 음성인 649건에 대하여 수작업에 의한 튜브법으로 4종류의 시약을 이용하여 Rh 혈액형 검사및 약-D 검사를 시행하였고, 시약 간에 다른 반응양상을 보인 14예는 6종류의 단클론 항-D가 함유된‘ID-partial RhD-typing'(Diamed, Switzerland)로 확진 검사를 실시하였다.결과 : 부분-D형의 아형은 단클론 항체에 의한 반응 양상에 따라 92.9% (13/14)가 DFR 유형이었고, 7.1% (1/14)는 아형 구분이 불가능한 유형이었다. 4종류의 상용화된 단클론성 항-D 시약을 이용한 RhD 검사에서 부분-D형 14예는 모두 반응이 없었으나,추가로 실시한 약-D 검사에서는 Dade Behring (USA)사의 항-D에는 100% (14/14)에서 음성, Ortho-clinical diagnostic (USA)사의 항-D에는 92.9% (13/14)는 trace-1+ 양성, Bioscot (UK)사의 항-D에는 100%에서 trace-3+ 양성, 그리고 녹십자(Korea)사의 항-D는 100%에서 1+~3+ 양성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