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배경 : Vancomycin 내성 장구균(VRE)는 병원감염의 주요원인균으로 전세계적으로 분리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저자들은VanA VRE 균주들 간의 유전적 관련성과 함께vanA 내성 유전자의 구조를 비교하여 병원내 및 대륙간 전파양상을 규명하고내성 유전자의 전이력를 평가하고자 하였다.방법 : 미국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CDC)에서 수집된 VanA형 VRE 20균주와 아주대학병원에서분리된 VanA형 VRE 17균주를 대상으로 하여 한천희석법으로vancomycin, teicoplanin, ampicillin에 대한 MIC를 측정하였고,multiplex PCR을 이용해 vancomycin 내성 유전자형을 확인하였다. PFGE와 long PCR-RFLP를 시행하여 균주들 간의 유전적 연관성과 내성 유전자의 구조를 분석하고, long PCR 음성인균주의 유전자 분석을 위해 ORF1, vanS-vanH , vanX, vanY-vanZ, vanZ, IS1216에 대한 PCR을 시행하여 내성 유전자의 구조를 분석하였다. Vancomycin 내성 유전자의 전이력을 평가하기 위해 PFGE와 long PCR-RFLP의 양상이 다른 균주들을공여 균주로, rifampin-resistant, fusidic acid-resistant E. fae-calisJH2-2를 수여 균주로 하여 filter mating법으로 전이 계수를 구 하 였 다 .결과 : PFGE 결과에서 CDC 균주는 4개의 cluster를 포함한15개형으로 나타났고, 아주대학병원 균주는 3개의 cluster를 포함한 6개형으로 나타났다. Long PCR은 CDC 균주 중 18균주(90%),아주대학병원 균주 중 16균주(94%)에서 증폭되었고, RFLP 결과 CDC 균주는 5개군으로 아주대학병원 균주는 2개군으로 분류되었다. CDC 균주와 아주대학병원 균주의 평균 전이 계수는 각각 3.0× 10-8와 4.9× 10-5 transconjugant/donor였다.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VanA VRE, Tn1546, Horizontal transfer, Long PCR-RFLP 접 수 : 2002년 2월 6일 접수번호 :KJCP1566수정본접수 : 2002년 6월 25일교 신 저 자 : 이 위 교우 442-721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원천동 산 5아주대학교병원 임상병리학교실전화: 031-219-5785, Fax: 031-219-5778E-mail : weegyo@ajou.madang.ac.kr182 허지영이위교이 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