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배경 : Plasmodium vivax 의 표적항원인 circumsporozoite 단백(CSP), merozoite 표면 단백(MSP) 및 Duffy 혈액형 부착단백(DBP) 항원이P. vivax에 대한 면역기능과 관련성이 밝혀지면서 표적항원이 말라리아의 진단 및 백신 개발에 중요 역할을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P. vivax의 유전자 재조합 CSP,MSP, DBP 항원을 제작하여, 이들 재조합항원을 이용하여 말라리아 항체 진단에서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국내의 말라리아 위험지역 및 일반지역에서의 항체반응양상을 측정하여 국내말라리아 예방의 기초가 되는 역학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방법 : P. vivax의 각 CSP, MSP, DBP 항원을 제작하기 위해 고대 안산병원에서 P. vivax로 진단받은 환자의 전혈을 이용하여 각 항원 포함 부위를 증폭하여 확인한 후, 결찰, 클로닝, 단백질 발현 및 정제 과정을 거친 후, 각 발현된 재조합 항원을 이용하여 말라리아 양성, 음성 대조군에서 항체를 측정하여 각 재조합 항원의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국내 5개 지역 총 1,014명의건강검진 환자를 대상으로, 1) 각각의 재조합 항원을 통합 (CSP,MSP, DBP)하여 이에 대한 항체 반응(polyclonal, monoclonalIgG 및 IgM)과 2) 재조합 항원 각에 대한 IgG 항체 반응을측정하였다.결과 :1. 각 재조합 P. vivax의 CSP, MSP, DBP 항원 및 통합항원에 대한 IgG 항체 검사의 민감도는 각각 75.6%, 62.2%,68.9% 및 97.8%였고, 특이도는 각 92.1%, 84.2%, 81.6% 및97.8%였다. 2. 국내 5개 지역, 총 1,014명을 대상으로P. vivax의재조합 CSP, MSP 및 DBP 통합항원에 대한 항체 반응 검사를한 결과, 말라리아 고위험 지역인 철원 지역이 높은 항체 양성률을 보였다. 3. P. vivax의 재조합 CSP, MSP 및 DBP 항원에 대한 IgG 항체 반응을 측정한 결과, 양성률은 CSP 항원(2.0%)에대해서 가장 높았으며, 항원에 따른 지역별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Plasmodium vivax, Seroprevalence, Circumsporozoite protein, Duffy binding pro-tein, Merozoite surface proteinP. vivax의 재조합 CSP, MSP및 DBP를 이용한 항체반응 191여 말라리아 박멸지역으로 선포되었으나, 1993년 경기도 북부지역에서 근무하던 군장병에서 토착형 말라리아가 발병한 이후, 급격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유행지역이 확대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