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배경: 중경쇄 정량검사는 단세포군 면역글로불린의 중쇄 및 경쇄의 유형을 개별적으로 확인하고, 정량적으로 중경쇄의 농도를 측정하는 검사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경쇄 정량검사의 임상적 유효성을 평가하였다. 방법: 중경쇄 정량검사의 유효성은 체계적 문헌고찰방법을 이용하였으며, 국내문헌은 KoreaMed를 포함한 8개 데이터베이스와 국외문헌은 Ovid-MEDLINE, Ovid-EMBASE, Cochran Library에서 2013년 10월 10일 최종 검색을 완료하였다. 코호트 연구 5편, 진단법 평가연구 1편의 연구를 최종 평가에 포함하였으며 문헌의 질 평가는 The Scottish Intercollegiate Guidelines Network (SIGN) 도구를 이용하였고, 자료추출에서 각 단계는 2명의 평가자가 독립적으로 수행하였다. 결과: 기존 검사들과의 상관성은 단클론 IgA가 증가한 환자를 대상으로 한 1편의 문헌에서 중경쇄 정량검사는 비교대상인 기존 검사들과 상관계수 0.94의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예후 예측에서의 유효성은 HLCR에 따른 생존율을 분석한 5편의 문헌에서 중경쇄 정량검사 결과 HLCR이 높을수록 생존율이 유의하게 낮았고, IgAκ/λ 비, IgMκ/λ 비 증가는 무진행 생존율 증가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이 보고되었다. 결론: 중경쇄 정량검사는 단세포군 감마글로불린병증 소견이 있는 환자에서 중경쇄의 농도를 정량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유형 분석, 예후 예측하는 데 있어 유효성의 근거가 있는 검사로 평가되었다.


Background: The heavy-light chain (HLC) quantitative test can identify and quantify the heavy and light chains of each immunoglobulin clas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HLC quantitative test. Method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HLC quantitative test, a systemic review of the literature, using Ovid-MEDLINE, EMBASE, Cochrane library, and eight domestic databases including KoreaMed, was performed until October 10, 2013. We included five cohort studies and one diagnostic evaluation study in the final evaluation. Two reviewers independently assessed the quality of the included studies and extracted data from the studies. The quality of the studies was assessed according to the Scottish Intercollegiate Guidelines Network (SIGN) tool. Results: A correlation between the HLC quantitative test and previous assays was evaluated in one study, which enrolled patients with increased monoclonal IgA.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reported as 0.94 in this study.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the quantitative HLC test to predict a prognosis was also reported in five cohort studies. The survival rate in patients with higher HLC ratio was significantly lower and the increased IgA κ/λ ratio or IgM κ/λ ratio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higher survival rate in patients with monoclonal gammaglobulinemia. Conclusions: The HLC quantitative test is an effective test that can quantitatively measure the identified immunoglobulin type and predict the prognosis of patients with monoclonal gammopath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