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프랑스혁명 초기의 민중소요는 구체제의 사회경제적 모순과 이를 해결하지 못하는 절대왕정의 정치적 무능에서 비롯된 총체적 위기의 산물이었다. 식량폭동은 이러한 위기의 가장 즉각적이고 직접적인 결과였지만, 그 이면에는 훨씬 더 심원한 대립과 갈등, 다시 말하면 생존권, 자유와 평등에 관한 인간과 사회 집단들 사이의 인식의 차이, 피치자인 민중의 공동체적 심성과 부유한 지배 엘리트의 이기적 태도 사이의 대립과 갈등이 내재되어 있었다. 1789년 7월의 예외적 상황을 제외하면, 혁명 초기 식량폭동의 계절적 리듬은 곡가가 상승하는 춘궁기와 곡물 운송이 빈번해지는 가을에 식량폭동이 많이 발생한다는 전형적인 양상을 다시 한 번 확인해준다. 생산과 수송 능력의 한계, 과중한 간접세와 통행세 징수, 기상이변 등으로 인한 곡가상승이 식량폭동의 직접적인 원인이라는 것은 분명하지만, 식량폭동의 지리적 분포를 고려해 볼 때, 18세기의 인구증가와 농민층의 사회적 분화로 말미암은 ‘소비자’ 농민층의 증가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했음에 틀림없다. 이러한 객관적인 요인들에 더해서 혁명 부르주아지의 경제적 자유주의와 그에 입각한 곡물거래 자유화 조치가 식량 투기와 매점매석을 조장하고 민중들의 불안을 자극함으로써 식량폭동을 확산시켰다. 주민 모두의 생존을 특정 개인의 이익보다 우선시하는 민중의 “도덕경제”는 대다수의 주민들이 감당할 수 있는 적정한 수준으로 곡물가격을 규제하라고 요구한다. 이는 소유권은 인정하지만 타인의 생존을 위협하는 부의 집중과 독점은 거부하는 상퀼로트의 경제관과 일맥상통한다. 직접행동을 통해 이를 실현하려고 한 민중운동은 단지 경제적 진보에 맞선 퇴행적 움직임이 아니라, 모든 구성원의 ‘생명’을 지키는 것이 사회계약의 핵심이며 자유는 이를 보장하기 위한 수단이라는 인식에 기초해서, 소유의 확대를 ‘진보’로 간주하는 부르주아적 사회계약에 대한 민중적 대안을 제시했던 능동적 운동이었다.


The popular revolts in the beginning of the French Revolution result from the pre-revolutionary crisis caused by the socio-economic contradictions of the Old Regime and the political inability of the French absolute monarchy. Its immediate effects are the food riots. Behind their simple aspects, we can find more profound conflicts between the self-centered wealthy rulers and the communal poor, especial vis-a-vis their different perceptions of life, liberty and equality. Except the situation of July 1789, the trend line of food riots from 1789 to 1791 demonstrate that the food riots increased in the spring poverty and in fall when the transportation of cereals increased. It is certain that the augmentation of the price is the direct cause of the food riots. Considering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food riots, however, it is also possible to assess that the other crucial factor is the size of the mass of 'consumer' peasants created by the increasing demographical pressure and social differentiation of the peasantry. Along with these objective factors, the liberalism of revolutionary bourgeois and their policy "liberation of cereal commerce" play an important part as well in the proliferation of food riots by irritating the people and aggravating the cornering. People's moral economy puts the life of all the members of the society before the profit of some individuals, and claim that the cereals' price would be controlled at a suitable level for the majority. This view actually shares a common ground with the economic concept of the "sans-culottes", who admit the right to property to be a legitimate right while standing against the concentration and monopoly of the wealthy, in order to prevent these from threatening the life of the others.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people tried to implement this idea through the means of direct actions, we can argue that popular movement was in fact not a retrograde movement against economic progress, but an anti-these of the bourgeois' social contract that views the increase of property as a progress, based on the preception that the social contract is essentially to save the life of all members and the liberty is guarantee for this go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