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1907년 중반이후 한말 후기의병은 일본 군경을 상대로 전선이 없는 전쟁을 치렀다. 이 과정에서 이들은 적어도 1만 5천명 이상이 희생되었다. 이때부터 약 2년 동안 일제와 싸운 의병의 규모는 연인원 14만 명이나 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처참한 희생이 발생했던 것이다. 이는, 그 이전의 의병항쟁에 비하면 매우 이례적인 변화라 할 수 있다. 즉 그 이전의 의병항쟁은 전국적인 무력투쟁으로 규정하기에는 다소 무리한 면이 없지 않았으며, 1년 이상 장기항전을 이끌어가는 의진도 거의 없었다. 막대한 군자금과 병력을 동원하여 2-3개월 동안 준비하여 봉기했음에도 한달도 채 버티지 못한 의진이 적지 않았다. 그런데 후기의병의 경우 전국에 걸쳐 수많은 의진들이 1년 이상 장기항전을 전개하였다. 그렇다면 그 이전의 의병항쟁과의 차이점이 무엇일까 궁금하지 않을 수 없다. 이와 관련하여 이 글에서는 장기항전을 가능케 했던 후기의병의 전략과 전술에 대해 검토해보았다. 물론 장기항전을 위한 의병의 근거지 문제를 천착한 연구가 없지는 않았다. 하지만 후기의병의 장기항전을 위한 전략을 거시적 관점에서 조망한 연구는 거의 찾을 수 없었다. 이에 이 글에서는 후기의병의 장기항전 전략과 그것이 도출되는 과정과 의미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또한 후기의병의 장기항전을 가능케 했던 전술에 대해서도 선행 연구를 바탕삼아 그 특징과 의미를 밝혀보았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후기의병의 장기항전을 가능케 한 대표적인 전략인 국내외 산악근거지론의 내용과 그것이 제시되는 과정을 검토하였다. 지리적 조건과 의병활동의 경험에 따라 한반도의 중북부 지역에서 활동하던 후기의병 지도부는 백두산근거지론과 황해도 장수산근거지론을, 삼남지방에서 활동하던 후기의병 지도부는 지리산근거지론을 각각 추진했음을 밝혔다. 한편, 계몽운동 계열의 경우에도 국외에 근거지를 모색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로써 의병항쟁 계열과 계몽운동 계열을 불문하고 전국 각지에서 장기항전에 필요한 산악근거지론이 제시, 시도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런데 후기의병이 제시한 근거지론은 백두산이나 지리산 등과 같은 험준한 산악지대를 장기항전의 무대로 주목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하겠다. 다음으로 장기항전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후기의병의 전술을 살펴보았다. 이들은 다양한 전술을 구사함으로써 투쟁역량을 강화하여 장기항전의 기반을 구축했음을 밝혔다. 즉, 후기의병은 정예의 의진으로 전환하기 위해 군사적 식견이 뛰어나고 사격술이 능한 해산군인과 산포수를 영입하였고,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은 용감한 청장년을 선발하여 뛰어난 기동력과 엄정한 지휘체계를 확립하였다. 아울러 이들은 총기 개량과 신무기의 확보에 노력하였으며, 의진 간의 연합투쟁과 주민과의 유대를 강화하여 장기항전의 기반 구축에 기여하였다. 그 결과 후기의병은 압도적인 화력과 근대적 전투역량을 갖춘 일제 군경에 맞서 장기항전을 전개할 수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은 후기의병의 전략과 전술이 장기항전을 가능케 하는 주요 요인이라 할 수 있다. 특히 후기의병이 주목했던 산악근거지는 훗날 독립운동의 근거지로 적극 활용되었다는 점에서도 이들의 장기항전 전략이 적절했음을 알 수 있다.



1907年中盤以降韓末後期の義兵は日本軍や警察を相手に戦線のない戦争を経験した。この過程でこれらは少なくとも1万5千人以上が犠牲になった。この時から約2年間日本の植民地支配と戦った義兵の規模は延人員14万人もなっており、この過程で凄惨な犠牲が発生したのだ。これはそれ以前の義兵抗争に比べると非常に異例的な変化と言いえる。つまりそれ以前の義兵抗争は全国的な武力闘争に規定することには多少無理をした面がなくておらず1年以上の長期抗戦を率いていく陣義もほとんどなかった。莫大な軍資金と兵力を動員して2-3ヵ月間準備して蜂起したにもかかわらず、わずか1ヵ月持ちこたえることができなかった義陣が少すくなくなかった。ところが後期義兵の場合ばあいに全国にわたって数多い義陣が1年以上の長期抗戦を展開した。それならそれ以前の義兵抗争との差さは何だろうか気になってならない。これと関連して本稿では長期抗戦を可能にした後期義兵の戦略と戦術について検討してみた。もちろん長期抗戦を向けた義兵の根拠地問題を探ぐる研究がいなくはない。しかし後期義兵の長期抗戦のための戦略を巨視的観な点から眺望した研究はほとんど見つからなかった。これに本稿では後期義兵の長期抗戦戦略とそれが導びき出される過程と意味についてみたものである。また後期義兵の長期抗戦を可能にした戦術についても先行研究をもとに、その特徴と意味を明あきらかにしてみた。その結果を要約すると次のようだ。先に後期義兵の長期抗戦を可能にした代表的な戦略である国内外の山岳根拠地論の内容とそれが提示される過程を検討した。地理的条件と義兵活動の経験によって韓半島の中北部地域で活動していた後期義兵の指導部は白頭山の根拠地論と黄海道長寿山の根拠地論を、三南地方で活動していた後期義兵の指導部ぶは智異山根拠地論をそれぞれ推進したことを明あきらかにした。一方、啓蒙運動系の場合にも国外に拠点を模索したことを知しることができた。これで義兵抗争の系列と啓蒙運動系を問とわず全国各地で長期抗戦に必要な山岳根拠地論が提示、試みられたことを知しることができた。ところが後期義兵が提示した根拠地論は白頭山や智異山などのような険けわしい山岳地帯を長期抗戦の舞台に注目したという点で意味が大きいと言いえる。次に長期抗戦を効果的に推進するための後期義兵の戦術を調べた。彼らは多様な戦術を駆使することで闘争の力量を強化して長期抗戦の基盤を構築したことを明あきらかにした。つまり後期義兵は精鋭の義陣へと転換するため軍事的な見識のすぐれ射撃術にたけた解散軍人と山砲手を迎え入れ死を恐れてない勇敢な青年を選抜して優れた機動力と厳正な指揮体系を確立した。同時に彼らは銃の改良と新兵器の確保に努力して義陣の間の連合闘争と住民とのつながりを強化して長期抗戦の基盤の構築に貢献した。その結果後期義兵は圧倒的な火力と近代的な戦闘力を備えた日本軍警に対抗して長期抗戦を展開できたと判断される。このような後期義兵の戦略と戦術が長期抗戦を可能にする主な要因といえる。特に後期義兵が注目した山岳根拠地は後日独立運動の根拠地として積極的に活用されたという点でも彼らの長期抗戦戦略が適切たことを知しることができ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