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임진왜란 당시 경상도의 의병활동은 적의 후방에서 보급로를 차단하는 한편, 낙동강 전선을 사수하고 곡창 전라도를 지켜냄으로써 국난극복의 轉機를 마련하였다. 그런데 기존 연구들은 저명한 의병장이나 의병활동에 치중되어 있는 한계가 있었다. 그렇지만 경상도 의병에 대한 종합적이고 폭넓은 이해를 위해서는, 열악한 조건에도 불구하고 각 지역에서 의병 활동을 했던 소규모 의병장들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 글은 이러한 인식 하에 대구에서 활동했던 의병들의 활동을 재조명할 목적으로 작성하였다. 임란 초기 대구의 의병항쟁은 팔공산으로 피난하지 못한 사족이 주도하였다. 이들의 활동은 일본군의 약탈에 저항하는 향토방위 차원에 머물렀다. 서재겸 부대처럼 일본군 진지를 기습 공격하기도 하였지만, 전력의 열세를 실감할 수밖에 없었다. 그만큼 대구에 주둔한 일본군의 전력은 막강하였다. 게다가 일본군의 회유책에 넘어가 일본군에 협조하고, 나아가 약탈을 자행하는 조선 백성들도 많았다. 이 때문에 대구의 의병 활동은 일본군의 공격과 약탈로부터 피난지를 방어하는 수준에 머무를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선조의 교서와 이웃 지역 의병 활동에 자극을 받아 1592년 7월 6일 제1차 공산의진이 결성되면서 의병 조직의 규모가 대구 전지역을 포괄하게 되었다. 이것이 가능했던 것은 임진왜란 이전 연경서원을 통해 대구 지역 사족 전체가 일정한 연계망을 구축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1차 공산의진은 대구 지역 전체를 포괄하는 규모로 결성되어 매복이나 기습을 위주로 일본군의 진로를 차단하는 작전을 수행하였다. 팔공산의 험준함에 의존하여 의병 본부를 설치하는 한편, 각 지역의 유리한 고지를 차지하여 활동하였던 것이다. 때문에 소수의 일본군을 상대하여 효과적인 활동을 전개할 수 있었다. 그래서 해안현 의병의 경우 달성까지 진출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팔공산에 주둔하였던 관군과의 협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을 뿐 아니라, 오히려 의병활동을 방해하는 행태까지 보였다. 군량의 원활한 공급도 이루어지지 않았다. 게다가 의병장이 자주 교체됨으로써 의병활동을 전체적으로 조율할 수 있는 구심점이 결여되는 한계도 있었다고 할 수 있다.


The activities of righteous armies during Imjin Waeran(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1599) blocked the supply routes in the rear of the enemy and, on the other hand, defended the line of the Nakdong River and the granaries in Jolla‐do, and by doing so, they provided a turning point for overcoming the national crisis. However, most of previous studies have a limitation because they are focused on righteous army leaders or righteous army activities. For more general and broader understanding of righteous armies in Gyeongsang‐do, we also need to study the leaders of small‐size righteous troops that waged military campaigns in various areas despite adverse situations. With the recognition of this problem,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reilluminate the activities of righteous armies based on the Daegu area. Daegu righteous armies’ campaigns during the early period of Imjin Waeran were led mainly by noble families who could not flee to Mt. Palgong. Their activities were limited to local defense, keeping Japanese forces from plundering. Some like Seo Jae‐gyeom’s unit attacked Japanese forces’ camps, but most of righteous armies had to suffer inferiority in military power. As that much, the military strength of the Japanese army stationed in Daegu was enormous. Besides, many Joseon people were won over by Japanese troops and cooperated with them even in plundering. For this reason, the activities of righteous armies in Daegu were merely for protecting refuges from Japanese forces’ attacks and plundering. Encouraged by King Seonjo’s message and the activities of righteous armies in the neighbor areas, however, the first Gongsanuijin was organized in July 6, 1592 and, as a result, the scale of righteous army organization covered the entire area of Daegu. This was possible because all of the noble families in the Daegu area had established a network through Yeongyeong Private School before Imjin Waeran. Formed large enough to cover the entire area of Daegu, the first Gongsanuijin waged campaigns mainly for cutting the routes of the Japanese army through ambushes or surprise attacks. It installed the headquarters of the army in an area protected by the ruggedness of Mt. Palgong, and then occupied advantageous points in each area. In this way, they could fight effectively against small units of Japanese army. Through the struggles, the righteous army at Haean‐hyeon advanced up to Dalseong. However, cooperation with the government force stationed in Mt. Palgong was not smooth, and even the government force sometimes obstructed righteous armies’ activities. Military provision was not efficient either. What is more, because the leaders of righteous armies were changed frequently, there were few pivotal points for coordinating the activities of the armies as a who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