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호남 유학의 형성과 발전 과정의 전형이라고 할 정도로 그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는 장성지역의 유학 전통과 그 특징을 살펴본 것이다. 장성지역의 유학은 약간의 차이가 없지 않았으나 전체 호남 유학의 흐름에서 크게 벗어나는 것은 아니었다. 즉 고려 말부터 16세기 전반까지 장성지역의 유학 전통은 서릉과 송흠ㆍ박수량에서 볼 수 있듯이, 향촌교화적인 성격을 가지고 기묘사림의 도학사상, 지치추의유학과 크게 다르지 않으면서도 효와 청렴, 지행합일의 강조 등 수기적이고 실천적인 측면을 중시하였다. 16세기 중반 이들의 사상을 계승하여 학문적으로 더욱 발전시킨 김인후는 향촌 교화에 대한 열망과 사심 없고 청렴한 지방관의 중요성, 지나치지 않음과 겸손함에 기반한 삶의 태도 등을 선배 학인들로부터 이어받았다. 여기에 성리학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천명도」, 「주역관상도」, 「서명사천도」 등을 저술하였으며 서경덕ㆍ정지운ㆍ이항ㆍ기대승ㆍ노수신 등과의 수준 높은 학술논쟁을 통해 성리학의 이론적 심화와 이이학파의 학설이 정립되는 데 선구적인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그의 학문적 위상은 문인들에 의해 발전적으로 계승되어 송시열과 정조에 의해 ‘도학과 절의ㆍ문장을 다 갖춘 사람’, ‘동방의 周子’, ‘호남의 공자’로 평가받으며 호남지역에서는 유일하게 문묘에 배향되었다. 또한 효와 충, 청렴과 절의, 지행합일을 강조하는 이 지역의 유학 전통은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장성 남문창의 등 활발한 의병활동으로 나타났으며, 여기에 민본적 성격까지 덧붙여져 한말 기정진의 위정척사상과 문인들의 사회경제 개혁책, 의병활동 등을 통해 다시 한번 구현되었다. 따라서 장성의 유학 전통과 특징은 호남 유학의 성격과 발전 과정의 전형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며 나아가 조선 사상계의 전체적인 흐름과도 궤를 같이하고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looks into the tradition and the characteristic of Confucianism in Jangseong Region. Confucianism in Jangseong region is not much different from the stream of Confucianism in Honam province. From Goryo Dynasty to the mid-sixteenth centry in Joseon Dynasty Confucian tradition in Jangseong region had emphasized the sides of self-discipline and practice like Seo Reung, Song Heum and Park Soo-Ryang. Kim In-Hoo who much developed their thoughts played a leading role in theoretical deepening of Confucianism and a formulating of Yi I school’s theory. His thougths was succeeded by his disciples developmentally and he was considered as ‘the man who has a moral philosophy, fidelity and a literature’, ‘Zhou Dunyi(周子) of the East’ and ‘Confucius of Honam province’. He was only canonized into Confucian shrine among the Honam scholars. Confucian tradition in Jangseong region which emphasized filial piety and royalty, integrity and fidelity, uniting knowledge and conduct were succeeded to the Righteous Army as Jangseong Namun Changui(長城南門倡義). Futhermore It was realized as Ki Jeong-Jin’s expulsion of wickedness theory, his disciples’ socio-economic reformation and Righteous Army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refore it is no exaggerating to say that Confucian tradition and the characteristic in Jangseong region was a model of Confucianism in Honam province. It also had a same way of the general stream of the thinking world in Jose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