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게오르기 카스트리오티-스칸데르베이(1405-1468)는 오스만 터키의 침략에 저항하여 해방의 선봉에 섰던 알바니아 민족의 영웅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알바니아 민중 집단의 상징, 알바니아 독립을 지향한 최후의 전사, 15세기 유럽 전체의 영광이며 알바니아 민중의 지지를 받은 지도자, 기독교 세계 전체를 위해 오스만의 침략에 맞선 영웅, 나아가 무슬림의 침략에 맞서 자유를 수호하기 위해서 싸웠던 인물, 나아가 산지에서 동족을 규합하여 저항집단을 이끌었으며 이것이 훗날 터키 지배 하에서 그리스 인들이 산지 등에 모여 구성했던 빨치산(클레프티)과 유사하다는 등으로 다양하게 규정된다. 이와 달리 그의 오스만에 대한 저항이 알바니아 봉건귀족의 세력을 대변하는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그러나 근대적 민족주의의 이념을 15세기에 적용시키는 것은 문제가 없지 않다. 또 그가 기독교세계 혹은 봉건영주의 이해관계를 대변하는 것으로 정의하기도 쉽지 않다. 우선 기독교 세계라는 것이 단일한 정체성을 가진 집단이 아니었고 서방교회와 동방교회 간, 혹은 서방 기독교 내부에도 여러 분파 간의 알력이 있었기 때문이다. 또 스칸데르베이가 봉건영주의 세력을 대변하는 것이라고 획일적으로 말하기도 어려운 것이 그들 자신이 서로 분열되어 서방 로마교황과 오스만 측으로 각기 편을 달리했기 때문이다. 최근 슈미트(O.J. Schmitt)는 스칸데르베이가 민족주의의 이념을 지향했다고 보는 것은 시대착오적인 것이라고 하고, 그보다는 왜 그가 술탄에게 종속된 개종한 무슬림에서 기독교도로 돌아서게 되었는가 하는 질문을 중요한 의미를 가진 것으로 부각시킨다. 그 한 대답으로서 슈미트는 스칸데르베이가 이웃에 새로운 제국이 나타나는 것을 경계했던 것이라고 해석한다. 본고에서는 한편으로 스칸데르베이가 민족주의를 지향한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슈미트의 의견을 따르고, 다른 한편으로는 그가 이웃의 새 제국을 견제하려 했다는 견해를 지양한다. 그런 거시적 차원의 패권의 추이보다 그는 개인의 자유를 더 갈망한 것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자유를 위한 투쟁은, 전체 봉건영주가 아니라 호전적 십자군 이념을 지지한 일부 봉건영주들과 로마 교황청과 연계된 것이었다. 11세기 이래 서유럽 일부 기독교세계-봉건영주들은 호전적인 십자군 이념을 추구해왔고, 또 13세기 비잔티움 제국의 붕괴와 함께 서방 제 세력의 공조에 의해 콘스탄티노플에 성립된 라틴제국의 전통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스칸데르베이가 지향한 자유가 하층민을 아우르는 민중과는 거리가 멀 뿐 아니라 그 자유를 위한 투쟁의 수단이 되었던 무력이 바로 농민-민중을 억압하는 서구의 봉건적 지배 구조에 기초하고 있었다는 점은 의미가 크다. 오스만의 예니체리(yeniçeri)로 자랐던 그가 술탄의 권력에서 벗어나 자유를 찾기 위해서 서구의 봉건적이고 호전적인 십자군 세력과 동조함으로써 오히려 다수의 민중을 더한 질곡으로 몰아넣는 결과를 초래한 것은 역사의 한 역설이라 할 수 있겠다.


Georgi Kastrioti-Skanderbey (1405-1468) is known as an Albanian hero. He led the resistance against the Ottomans during the period 1443-1468, and became a paragon of wonder among the western Christians. Skanderbey has been defined as a hero who resisted the Ottoman's attack not only for Albania but for all the European Christian world, a symbol of the Albanian populace, the last fighter for Albanian independence, a protector of European culture, a warrior of the Renaissance, and a protector of freedom against the Muslims. Furthermore, his resistance has been compared even with the Greek partisans (klephtoi) who, gathered in the Mountain area, fought the Turks later under the Ottoman Sultan's domination. According to another view, however, his resistance was regarded as standing for the interests of Albanian feudal lords. In my opinion, however, Skanderbey could not be identified identified sumply as a protector of Albanian nationalism, a warrior of Christendom, or a representative of the feudal lords. It is chronogically preposterous to apply the concept of modern nationalism to the 15th century, the age of Skanderbey. And Christendom as well as the feudal lords were never a unified entity, but were divided into several sects according to their own interests. Actually, it should be emphasized that in aiming for his own freedom against the yoke of the Sultan, Skanderbey rose upon the militarism of the Western crusades which, not all, but a part of the western feudal lords as well as the Roman Popes sought after. Skanderbey's military power was based on western feudalism which exploited the subordinate social class of populace-famers. Skanderbey's resistance in pursuit of freedom did not promote but reduce the people's freedom. Skanderbey represented a cross section of society: He was one of those raised as a Janissary, then adapted to join the warlike feudal crusaders in order to enjoy freedom from the Sultan's yoke. The Janissaries and the crusaders were composed on different social base from each other, the latter being still more militarily jingoistic. In the last years of the Middle Ages, instead of racial or regional interests which did not yet play a great role in those days, the conflicts of interest among the feudal lords, hierachic priests and the community of merchants secured the main current of history. The common factor of these three kinds of social groups was that they all pursued militarism more or less. This phenomenon could be compared with the situation of the Latin Empire (1204-1261) after the fall of Constantinop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