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죽은 선왕을 生時처럼 섬겨 孝를 펼친다는 명분하에 설립된 原廟는 선대의 왕과 왕비의 개별 魂 殿으로 상례와 제례가 모두 공존하는 장소였고, 봉안의 주요 대상은 影幀이었다. 그러나 세종대 중반후대의 왕들이 모두 별도의 원묘를 설립하는 방식은 문제가 많다고 판단한 국왕이 유교적인 五廟制 를 바탕으로 새로운 문소전을 설립하고 여기에 태조와 4대조를 봉안하도록 조처하면서 원묘의 성격은 바뀌게 되었다. 문소전은 봉안 대상이 기존의 영정이 아닌 위판이었고, 부묘 과정은 국상을 마친 후 종묘의 신주봉안과 결부됨으로써 새로운 국가제사의 대상이 되었다. 세종은 종묘와 달리 前殿後寢의 형태로 문소전을 만들었고, 제례의 과정은 종묘와 차별된 왕실의 私廟로써 설정하였다. 그러나 봉안의 대상이종묘와 비슷하게 태조와 4대조였고, 그 운영은 유교적 五廟체제에 맞추어 시행됨으로써 과거 원묘가갖고 있던 왕실 私廟의 모습을 넘어 국가묘의 성격을 드러냈다. 때문에 기존 원묘에 대한 비판이 주로 그것의 불교적인 성격에 집중되었다면 후대의 문소전 비판은 종묘와 유사한 문소전의 속성을 대상으로 삼았다. 세종은 처음 문소전이 건립되었을 때 이곳에 親疎를 기준으로 신주를 봉안하되, 후대에 절대로 5 실을 넘지 말 것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문소전 설립취지 및 운영방식은 부자상속의 정상적인 왕위계승이 이루어졌을 때에는 논란의 여지가 없었지만 傍系가 즉위하였을 때에는 왕통과 연결되어 해석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밖에 없었다. 조카로 대통을 계승한 성종은 문소전 5실제를 형식상 준수했지만 生父를 위해 별도의 延恩殿을설립함으로써 문소전의 父子奉祀 원칙에서 벗어났다는 의혹을 샀다. 특히 동생으로 왕위를 계승한명종은 親疎를 기준으로 한 문소전 祔祭 원칙을 내세우며 인종을 연은전에 祔祭하였는데, 이러한 행동을 인종의 정통성 훼손으로 판단한 반대 측이 世次를 기준으로 인종의 문소전 부제를 주장함으로써 양자 간에 갈등이 발생하였다. 이 상황은 다시 선조의 즉위 후에 재현되었는데, 이때에는 사림세력의 성장을 바탕으로 형제상속을 인정한 ‘同世異室’의 원리를 문소전에 적용시켜 인종과 명종을 모두 봉안하였다. 이후 문소전은 종묘와 동일한 廟制의 원리아래 운영되었다. 정묘인 宗廟와 親盡된 선왕을 모신 別廟(永寧殿)의 구성은 양자 간에 봉안대상이 서로 다르고 상호간에 차별화된 의식을 적용함으로써 정제된 국가묘제의 형태를 보여주었다. 그렇지만 종묘와 동일한 대상 및 원리로 운영되는 二重廟인 문소전의 제사는 당대인들에게 부당한 疊祭로 간주되었다. 이에 따라 이미 중종대부터 사림들의 혁파론이 제기되었는데, 세종의 遺命을 지켜야 한다는 국왕 측의반대로 실현될 수가 없었다. 그러다가 임진왜란 와중에 문소전은 소각되었는데, 왜란의 복구과정에서위의 비판론을 바탕으로 문소전의 재건은 모색되지 않았고, 그 제사는 자연스럽게 역사에서 사라지게 되었다.


This study analyzed the process of establishing Wonmyo(the Royal’s private Ancestral Shrine) system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 of it, especially related to Munsojeon. Wonmyo was built to respect the late Kings as if they were alive. In the early Choson dynasty, Wonmyo was built separate one king from another. While the only one Munsojeon was established instead of plural Wonmyo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because it had trouble to build Wonmyo continuous. Spirit tablet were enshrined instead of portrait in Munsojeon, and Confician ceremony was done deviating from the Buddhist. Spirit tablets of Taejo and four generation ancestor of present king were enshrined in Munsojeon, and King Sejong strictly restricted the number of spirit tablets as 5. The system of Munsojeon was changed during the reign of King Seongjong. He became a king after death of his uncle Yejong. He bestowed the titled of King on his real father in the 7th year, and then Spirit tablet of his father was enshrined in Chongmyo(the Royal Ancestral Shrine). But Spirit tablet of his real father was enshrined in Yeoneunjeon, a kind of Wonmyo instead of Munsojeon, for he called Yejong his father. This is deviate from principle restricting direct 4 generations due to enshrining his uncle, not his father. Myongjong was younger brother of Injong, so he intended to enshrine his elder brother in Yeoneunjeon not in Munsojeon. But Sarim(Neo-Confucian literati) insisted Injong be enshrined in Munsojeon because Myongjong had to regard Injong as his father. They acclaimed it was defined not blood lineage but kingship lineage. At last Injong was enshrined in Yeoneunjeon due to powerful insistence of the King’s mother. This debate was continued during the reign of King Seonjo. At that time Sarim gained in power, they claimed kingship lineage was more important than blood lineage on the enshrinement. So Injong and Myongjong were enshrined in Munsojeon. As a result, Munsojeon system changed to enshrine spirit tablet from blood lineage to kingship lineage. But basically Sarim denied the system of Munsojeon, because of duplicity of Jongmyo and Munsojeon and too many sacrificial rites. So After Munsojeon was burned away during Imjinwaeran(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392), it was not rebuilt fore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