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South African black people's perceptions concerning the effect of labor migration on their lives. Since the migrant labor system was established in South Africa, they have gone through drastic changes in various facets of life. By analyzing the oral life-history testimonies of people who lives in Msinga, the study tries to illuminate what they remember about their labor migration and how they give meaning to the experience. Recently the study of oral history began to receive attention from academia with its new perspective to look into the immediate past. It stemmed from the diagnosis of the inadequacies of the established historical scholarship which alienates ordinary people from historical scenes. The experiences and memories of the people who were marginalized as the voiceless became recognized as important data for the new history writing. During the field research which was conducted from July 15 to August 13, 2010 at Othulini LweZulu and KwaNxamalala villages, Keate's Drift, Msinga, Umzinyathi District, KwaZulu-Natal Province, South Africa, 38 people were interviewed. The majority of interviewees were old men, ranging from 54 to 93, who migrated into industrial areas for work and have returned to their home after retirement. The interviews were meant to recall interviewees' memories about important events of their lives, especially the experience of migrant labor. Therefore, their narrations can be taken as reminiscences of their lives. Making use of the oral life-history testimonies of Msinga people, this study attempts to look at how they come to terms with their experience of labor migration. They hold on to various memories to tell the story of their life of migration. In the discussion their testimonies in each stage of life, that can be demarcated by labor migration, are examined. The focus of the study relates to the effect labor migration has on the Msinga people and their lives.


본 연구의 목적은 이주노동이 남아프리카공화국 흑인의 삶에 미친 영향을 그들의 시각에서 논의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주노동 체계가 남아프리카공화국 사회에 확립된 이래, 남아공 흑인들 삶은 다양한 측면에서 급격한 변화를 겪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변화를 직접 체험한 이들의 구술생애사 증언을 분석함으로써, 그들이 이주노동에 대해 무엇을 기억하고 있는지, 또한 그 경험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지에 대해 조명할 것이다. 최근 학계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소외되었던 역사적 주체에 대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가까운 과거를 새로운 시각을 통해 조망하고자 시도하는 구술사 연구가 관심을 끌고 있다. 포스트구조주의 및 포스트모더니즘 패러다임 속에서 서구의 거대 담론이 해체되고 탈근대·탈식민에 기반을 둔 사상들이 출현하면서, 새로운 역사 쓰기의 중심이 민족과 국가, 사회라는 거시적 주체에서 지방과 개인이라는 미시적 주체로 이동하고 있는 것이다. 과거에 소리 없는 주체로 주변화 되었던 사람들의 경험과 기억은 새로운 역사 쓰기를 위한 귀중한 자료로 각광받고 있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는 2010년 7월15일부터 8월13일까지 남아프리카공화국 끄와줄루나탈(KwaZulu-Natal)주(州) 음싱가 (Msinga) 지역의 오툴리니 르웨줄루(Othulini LweZulu)와 끄와은짜말랄라(KwaNxamalala) 마을에서 실시된 현지조사를 통해 수집되었다. 이 현지조사에서는 이주노동을 체험한 38명의 구술생애사 증언을 듣기 위한 인터뷰가 실시되었다. 인터뷰에 응한 음싱가 주민들은 도시로의 단독 이주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던 그들의 젊은 시절을 회상하면서 이주노동을 둘러싼 그들 삶의 다양한 경험을 피력했다. 본 연구는 음싱가 주민들의 구술생애사 증언을 통해 남아프리카공화국 흑인들의 삶에서 이주노동이 가지는 의미를 살펴보고 있다. 본문의 논의에서는 이주노동을 중심으로 경계 지워진 삶의 단계별로 음싱가 주민들의 자기 일생에 대한 증언을 고찰하고 있다. 본 연구의 초점은 1994년 민주화 이후에도 지속되고 있는 이주노동 체계가 남아프리카공화국 흑인의 삶에 미친 영향을 음싱가 주민들의 증언을 바탕으로 재구성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