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자기사랑도 기독교의 사랑인가? 아퀴나스는 하나님 다음으로 사랑해야 할 대상으로 자기 자신을 꼽은 반면, 루터는 자기사랑을 왜곡된 사랑의 형태로 생각했으며 현대에 와서 니그렌 같은 이타주의자는 자기사랑은 참된 사랑으로서 하나님의 사랑과 대척점에 서 있는 사랑의 형태로 보면서 기독교 사랑의 범주에서 제외한다. 어떻게 보아야 할 것인가? ‘자기 자신을 사랑함’은 기독교 신앙이 받아들일 수 있는 정당한 종교적 도덕적 명령인가? 이 논문의 목적은 자기사랑에 관한 현대 기독교윤리학계의 담론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 탐색의 과정을 통해서 몇 가지 대표적인 자기사랑의 윤리적 모형을 정리해 보고 그 모형들을 비교·평가하면서 자기사랑의 기독교윤리적 정당성을 논구할 것이다. 이 논문 전체를 관통하면서 이 탐구를 이끌러 갈 주제들(혹은 질문들)을 몇 가지로 정리해 보면 이렇다. 첫째, 자기사랑과 아가페의 규범적 정의(定意) 사이의 관계 문제이다. 둘째, 하나님의 사랑과 자기사랑 사이의 연관성이라는 주제이다. 셋째, 자아와 타자의 관계 문제이다. 이 주제들 혹은 질문들에 대해 어떤 입장과 견해를 가지느냐에 따라 다양한 기독교적 ‘자기사랑’론이 산출된다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네 명의 학자를 주로 다룰 것인데, 자기사랑을 전면적으로 부정하는 입장에서 적극적으로 정당화하는 입장에 이르기까지 네 가지의 대비적인 견해가 드러나게 될 것이다. 가장 부정적인 입장을 대표하는 니그렌(Anders Nygren)으로부터 시작하여 가장 적극적인 옹호자로서 바첵(Edward Vacek), 그리고 그 중간에 할렛(Garth Hallett)과 아웃카(Gene Outka)를 차례로 다루고자 한다. 앞서 제기한 질문들에 대해 이 네 학자가 각각 어떻게 응답하는지를 살피고 이들의 입장을 비교하고 또 평가하고자 하는데, 이러한 작업을 통해 좀더 온전한 자기사랑에 대한 규범적 이해에 이를 수 있기를 기대한다.


Is self-love a Christian love? Is ‘loving self’ a proper religious and moral obligation which Christian faith can justify?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discourse of ‘self-love’ in contemporary Christian ethics. In doing so, I will examine several leading views of self-love and their justifiability in Christian ethical terms. Three questions inform my inquiry in this paper: 1)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ove and normative definition of Christian love; 2) the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between God’s and love of self; and 3) the so-called self-other relation. Although many scholars have addressed these questions, I will highlight four major approaches to this inquiry. This paper treats the views of four authors – Anders Nygren, Garth Hallett, Edward Vacek, Gene Outka - whose positions fall on a continuum from least permissive(Nygren) to most permissive(Vacek). I will examine each of these authors in turn and identify their contributions and weaknesses and compare these four authors, highlighting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mong them. I conclude with some ethical suggestions which can contribute to enriching Korean Christians’ life of love in terms of self-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