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교회는 그 본성상 ‘공인’ 교회이다. 공 실체로서의 기독교회의 공공성은 공 역에의 참여를 통해서 실화될 수 있고 그게 되어야 한다. 그러므 로 교회의 공 참여는 윤리으로 당인 명령이라고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닐 것이다. 그다면 어떻게 참여할 것인가? 공 참여에 한 정당화의 논거는 무 엇이며 참여의 방식은 어떠해야 하는가? 한 신학과 교회 통에 따라 공 참 여에 한 다양한 근들이 있다는 실을 감안한다면, 다양성을 존하면서 보 편 교회의 공 참여를 더욱 증진하는 데 필요한 ‘공동의 기반’을 찾을 수 있겠 는가? 이 논문에서 필자는 먼 고 신학자들과 신학자들 가운데 각 모 형을 표하는 인물들을 선별하고 기독교의 공 참여에 해 그들이 제시하는 신학 논거를 탐색하고자 하는데, 어거스틴과 라인홀드 니버의 ‘사회문화 공 변’ 모형, 아퀴나스와 알히트 리츨의 ‘윤리 보편화’ 모형, 재세례와 존 하워드 요더의 ‘교회됨 구의 사회윤리’ 모형, 그리고 칼뱅과 맥스 스택하우 스의 ‘총체 공공선·지향’ 모형 등이다. 기독교의 참여 모형에는 다양성이 존재 한다는 과 각각의 모형이 갖는 고유한 특징들이 있다는 등이 본 연구를 통해 자연스럽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서로 다름’이 부각되어 서로 비가 되고 그러한 비교와 비의 과정에서 서로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기를 바라 면서, 특별히 본 논문에서는 다양성과 상이성에도 불구하고 이 모형들 사이에 존재하는 신학인 공동의 기반(혹은 공통분모)을 탐색하고자 한다. 일종의 ‘에 큐메니칼 공 참여’ 신학을 추구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게 함으로써 기독교의 공 참여를 더욱 증진하고 강화하는 이론 실천 토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 로 기한다.


The church is ‘public’ by nature. Its public nature can and should be realized through its participation in the public realm. If the church’s public participation is an ethical mandate, what is it like and on what grounds should it be justified? Given that there have been various types of the participation in history, can we find certain theological ‘common ground’ which is conducive to enriching the public participation of the Christian churches? The aim of this paper is two-fold. First, I will propose four ideal types of public participation, highlighting classic and contemporary theologians representing each type and justifying the types theologically. They include ‘socio-cultural public transformation’ type(Augustine and Reinhold Niebuhr), ‘ethical universalization’ type(Aquinas and Albrecht Ritschl), ‘embodiment of the body of Christ’ type(the Anabaptists and John H. Yoder), and ‘holistic orientation towards the common-good’ type(Calvin and Max Stackhouse). Second, I attempt to offer theological ‘common ground’ on which the types of public participation can learn and interact with each other, hoping that such attempt will produce a kind of ecumenical theology of public participation and strengthen theoretical and practical foundation of Christianity’s public particip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