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우리사회는 현존하는 다양한 갈등을 해결하고 사회변혁과 통합을 이룰 수 있는 사회이념을 필요로 하고 있다. 필자는 우리 근대사에 주목할 만한 영향을 끼친 동학·천도교의 사회운동에서 나타난 사회이념의 타당성을 논증하여 우리사회의 변혁과 통합이념으로서의 가능성, 한계와 미래적 과제를 인식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삼고자 한다. 왜냐하면 동학·천도교의 사회운동은 우리 근대사에서 간과할 수 없는 비중과 위상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갑오동학혁명, 3·1독립운동, 신문화운동 등은 우리사회의 근대화에 절대적으로 기여하였음을 역사적으로 결코 폄훼할 수 없다. 필자는 동학·천도교의 창도 목적, 포덕천하(布德天下), 보국안민(輔國安民), 광제창생(廣濟蒼生) 등은 인간과 인간, 개인과 사회, 인간과 자연(생명), 인종과 민족, 문화와 문명을 차별하거나 분리하지 않고 전일적(全一的)으로 통합할 수 있는 대안인 동시에 인류가 추구해야 하고 성취해야 하는 보편적인 이념이라고 생각한다. 필자는 본 연구를 통해서 동학·천도교의 사회변혁 혹은 사회통합 이념이 인류 보편적인 이념임을 논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동학·천도교 사회운동을 역사적으로 개괄할 것이다. 둘째, 동학·천도교 사회운동을 사회윤리학적 관점으로 평가할 것이다. 셋째, 동학·천도교 사회운동을 추동한 사회이념을 규명 및 한정하고자 한다. 넷째, 동학·천도교 사회이념의 미래적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I assert that our society requests a social ideology which can resolve so many social conflicts and fulfill social transformation and integ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prove adequacy of ideology which was found in Donghak·Chondogyo’s social movements. And after that I can be recognize its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also I can be find out its future tasks of as an ideology for social change and configuration. Because Donghak·Chondogyo’s social movements were given much weight absolutely in our modern time. So we can’t deny the fact that the Donghak revolution and samil independence movement, new cultural movement etc. were contributed to modernize our society totally. I insist on that Donghak·Chondogyo’s religious objectives that is, podeokcheonha(布德天下), boguganmin(輔國安民), gwangjechangsaeng(廣濟蒼生) etc. can be an alternative plan that change and unify wholly human being and society, nature and nation, culture and civilization. At the same time it can be a universal ideology that have to seek for social justice. In this research I will prove that Donghak·Chondogyo’s ideology for social change and integration is an universal ideology for just life of human beings. For proving it, first, I will try to generalize Donghak·Chondogyo’s social movement historically. Second, I will evaluate it by the viewpoint of social ethics. Third, I will examine and limit its concept. Fourth, I will suggest the future tasks of Donghak·Chondogyo’s social ide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