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중세국어에서 ‘X-’형 용언에 접사 ‘-이’가 결합하여 부사를 파생시킬 때, 어간 ‘X-’에 결합된 ‘-이’(‘편안히’의 ‘-이’)와 어근 ‘X’에 결합한 ‘-이’(‘기’의 ‘-이’)가 성조 차원에서 변별되는 경향이 나타난다. 이러한 성조 차원의 차이를 중시하여, 형태론적으로 파생 접사 ‘-이’를 둘로 나누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그러나 명백한 반례가 존재한다는 점, 그리고 국어 성조론에서 앞에 오는 요소가 어간이냐 어근이냐에 따라 뒤따르는 접사의 성조가 달라지는 경우가 없다는 점 때문에 이 관점은 받아들이기가 어렵다. 이 논문에서는 중세국어 부사 파생 접사 ‘-이’의 성조 문제가 이 형태소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이 파생 부사가 속한 어휘군, 즉 상징어라는 어군에 관련된 것이라는 점을 밝혔다. 즉, 중세국어에서는 모든 상징어는 ‘Lⁿ’이라는 하나의 성조형으로만 실현되었는데, ‘기’류도 바로 이 성조형을 가진다는 것이다. 성조 방언인 경북 방언에서는 모든 상징어가 중세국어의 성조형 ‘Ln’과 대응 관계에 있는 /Hn/이라는 성조형을 가진다는 점에서, 이 관점은 그 타당성을 인정받을 수 있다. 이러한 논의의 결과, 중세국어에서 ‘X-’형 용언에 결합하여 부사를 파생시키는 접사 ‘-이’를 두 종류로 구분하자는 주장보다는 ‘기’류를 ‘- +-이’에서 ‘’ 탈락의 결과로 보는 관점이 힘을 얻게 되었다.


In middle Korean, the suffix ‘-i’ which makes derived adverb has high tone(Geoseong) generally. But it has low tone(Pyeongseong) or high tone(Geoseong) when it attach the root of ‘-’ compound verb directly, in compliance with the tone of root. ‘The -i1/-i2 theory’ depends entirely on this tonal phenomena. But we can't accept this theory because it has serious counterexample. In this thesis I supposed a solution of ‘the tonal pattern of symbolic words’. The theory of ‘the Tonal Pattern of Symbolic Words’ considers low tone(Pyeongseong) of the suffix ‘-i’ as a part of the whole tonal pattern of symbolic words. In middle Korean, Symbolic Words have just one tonal pattern ‘Lⁿ’ and in Gyeongbuk Dialect they have /Hⁿ/. This particular tonal pattern of symbolic words was resulted from intention in which people want to pronounce all Symbolic Words as same tonal pattern.


In middle Korean, the suffix ‘-i’ which makes derived adverb has high tone(Geoseong) generally. But it has low tone(Pyeongseong) or high tone(Geoseong) when it attach the root of ‘-’ compound verb directly, in compliance with the tone of root. ‘The -i1/-i2 theory’ depends entirely on this tonal phenomena. But we can't accept this theory because it has serious counterexample. In this thesis I supposed a solution of ‘the tonal pattern of symbolic words’. The theory of ‘the Tonal Pattern of Symbolic Words’ considers low tone(Pyeongseong) of the suffix ‘-i’ as a part of the whole tonal pattern of symbolic words. In middle Korean, Symbolic Words have just one tonal pattern ‘Lⁿ’ and in Gyeongbuk Dialect they have /Hⁿ/. This particular tonal pattern of symbolic words was resulted from intention in which people want to pronounce all Symbolic Words as same tonal patter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