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한국어 색채 표현 전반을 포함하여 그 양상과 분류 체계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어에서 색에 대한 표현은 고유어나 한자어, 외국어는 물론이고 명사와 형용사, 동사, 부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방식이 가능하다. 또한 색을 표현하는 것 외에 관용적인 의미를 형성하기도 하고 조어론의 관점에서도 일반적인 합성이나 파생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예들도 많다. 이에 본고는 한국어 색채 표현을 크게 둘로 나누었는데, 물리적으로 특정한 색상, 명도, 채도 등을 결정할 수 있는 경우에는 ‘지시형 색채 표현’으로, 그 외 색에 대한 느낌이나 평가, 관용적 용법을 가진 경우는 ‘서술형 색채 표현’으로 묶어 설명하였다. 특히 ‘KS A 0011’에 제시된 색이름부터 형용사에서 동사나 부사로 파생된 예까지 색과 관련한 대부분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색채 표현에 대한 논의가 국어학의 영역에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 색채와 관련한 다른 학문들과 함께 연구될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In this paper, we discussed two things: what is Korean color expressions and how to classify them. Traditionally, the term ‘Korean color name’ represents nouns, however, if we use the term ‘Korean color expression’, we could include the adjectives like ‘ppagahda’, ‘parahata’, ‘norahda’, etc. and noun phrase ‘deep red’, ‘purplish red’, etc. The Korean color expressions are used for two different purposes, which are to refer to physical colors and to describe a feeling toward a color or a evaluation about a color. For example, when we use a referential color expression, this means that the color has specific hue, value, and chroma. The referential color expressions are usually nouns or noun phrases and they are Korean standard color expression(KS A 0011). The descriptive color expressions are usually adjectives, but are sometimes nouns, verbs, and adverbs. They have no specific physical colors. We use the depictive color expressions when we express some feelings and evaluations about color the atmosphere of objects. Finally, we suggested a way to classify all Korean color expressions, including referential color expressions (Korean standard color expressions, KS A 0011) and descriptive color expressions according to their ontological types, grammatical functions, parts of speech, et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