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에서는 다음과 같이 가정했다. 첫째, 한국어의 모든 용언형은, 안맺음토가 실현되든지 실현되지 않든지 간에, 안맺음토가 가지는 모든 문법 정보를 가져야 한다. 둘째, 동일한 문법 기능이 안맺음토로 실현되기도 하고 맺음토로 실현되기도 한다. 이러한 가정 아래, ‘-었-’과 ‘-겠-’, ‘-더-’와 결합하는 종결형토(Ⅰ)로 형성되는 용언형의 구조와, ‘-었-’과 ‘-겠-’이 결합하는 종결형토(Ⅱ)로, ‘-었-’과 결합하는 종결형토(Ⅲ)로, 어떤 안맺음토와도 결합하지 않는 종결형토(Ⅳ)로 형성되는 용언형의 구조를 각각 다음과 같이 기술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논의에 기초하여, 안맺음토와 맺음토에 문장의 중심어의 지위를 부여하는 변형 문법의 문제점을 검토했다.


In this paper, I suppose the Korean verbal forms of termination have all the grammatical informations which non-final endings have, whether they represented or not, and a same function is represented in the non-final ending or final ending. With this supposition, I represent the verbal forms which are formed with -ess-, -kess, -de and final endings(Ⅰ), them which are formed -ess- and -kess and final endings(Ⅱ), them which are formed with -ess- and final endings(Ⅲ), and them which are formed with no non-final endings and final endings(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