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의 목적은 <번역소학>과 <소학언해>에 공통되게 나타나는 한자어들로부터 추출된 한자 형태소 자료들의 방점표상을 대조하여 1518년과 1588년의 70년이라는 시대적인 차이에 따른 방점의 변화 여부를 검토하는 것이다. 형태소의 성조론적 위치 및 입성적 음절구조의 보유 여부에 따라 6개의 동아리로 정리한 자료의 틀에 맞추어 방점의 대응 관계와 변화 양상을 계량적인 방법으로 고찰․분석하였다. 방점 대응 비율이 높은 순서는 다음절 어기 어두 위치, 1음절 어기 위치, 다음절 어기 비어두 위치의 순서이며, 특히 다음절 비어두 위치에서는 방점 대응 비율이 눈에 띄게 떨어진다는 사실을 통계적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입성자 형태소의 경우는 성조론적 위치에 영향을 크게 받지 않고, 일관성 있게 매우 높은 비율로 대응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각론적인 차이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으로 보면 두 문헌의 방점 대응 비율은 상당히 높은 편인데, 이를 통하여 두 문헌 발간 연대의 70년 동안에는 성조 체계가 안정기에 있었다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The two Middle Korean Literature Beonyeok-sohak and Sohak-eonhai were published in A.D. 1518 and 1588 respectively. The three tones even ‘ping’ rising ‘shang’ and high-level ‘ru’ were indicated with three marks □(unmarked), :□(heavily- marked) and ·□(lightly-marked) also in these two literatures like in the other middle Korean literatures. In chapter two, how I introduced with so succinct charts how Medieval Chinese four tones-ping(◱), shang(◰), qu(◳), and ru(◲) are reflected into Middle Korean three tones-even(□), rising(:□), and high-level(·□) through two advanced researches. I think that chapter two will give some helps for understanding contents of the following chapters. In chapter three and four I gave how to analyze and arrange side-dot representation data through the presentation of breaf description of demonstration data. In chapter five, I arranged all the analyzed side-dot data according to the method given in the above two chapters. In chapter six I have compared and contrasted the side-dot data offered in chapter five through statistical method. The the essential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t the word- initial position in the case of non-ru tone, correspondence of even(□) in BS to even(□) in SE is 97.71%, that of rising(:□) to rising(:□) is 95.85%, and that of high-level(·□) to high- level(·□) is 87.74%. At the non-initial position, correspondence of even(□) in BS to even(□) in SE is 90.87%, that of rising (:□) to rising(:□) is 82.61%, and that of high-level(·□) to high- level(·□) is 83.59% respectively. Regardless of position in phonemic word, majority of Ru tone morphemes appear in high-level t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