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농촌사회는 일제에 의해 시행된 1910년대 ‘토지조사사업’과 1920년대 ‘산미증식계획’의 영향을 받는다. 일제는 이 정책에 반발하는 농민들의 억압하고 농촌사회를 효과적으로 지배하기 위해 물리적 억압기구로서 총독부 관료기구로 군, 면, 경찰기구 등과 더불어 농회, 금융조합 등 각종 공공단체(조합)들을 확대시켜나가고, 한편으로는 ‘치안유지법’ 등을 제정하였다. 이러한 조건 하에 충북지역 농민들도 1920년대 초반에는 소작조건의 개선에 주목적을 두고 소작인조합을 설립하여 소작쟁의를 비롯한 농민운동을 전개하였다. 충북지역에서는 1922년 제천군 소작인조합을 시작으로 보은, 옥천, 진천 등 7개 군에서 소작인조합이 결성되었고, 조선 소작인상조회의 영향 하에 청주, 충주, 영동 소작인조합이 결성되었다. 20년대 초반의 충북지역 사회운동은 실력양성론에 입각한 계몽 운동적 성격을 띤 청년회가 지역사회를 장악하고 주도하였기 때문에 소작인조합도 그 영향을 벗어날 수 없었다. 따라서 청년운동이 곧 시들해지자 소작인조합은 그 존재의 의미를 잃는다. 1920년대 후반에 들어와 전국에 나타난 사회운동의 방향전환은 농민운동에도 반영되어 ‘자연 발생적 경제투쟁에서 목적의식적 정치투쟁’으로 변하고 운동 주체도 ‘소작농뿐만 아니라 자작농으로’까지 확대하며 소작인조합이 농민조합으로 변화 발전했다. 이러한 추세에 발맞추어 충북지역에서도 1927년에 제천에서 처음 농민조합이 설립되었고, 이후 지역 사회주의자들이 중심이 되어 조직한 청년회가 중심이 되어 1927년 미원 농민조합과 1929년 영동 농민조합이 설립되었다. 그러나 산동 농우회로부터 개편된 미원 농민조합이나 제천 농민조합은 농민총동맹 산하의 단체였는지조차 알 수 없을 정도로 그 활동이 미약하였고, 영동 농민조합도 1930년대 혁명적 농민조합으로까지 변화하여 발전되지 못했다. 1930년대 초에 가서는 농민주체의 농민운동단체는 하나도 존재하지 않게 되었다. 이 같은 충북지역은 농민운동의 측면에서 보면 ‘농민은 있지만 농민운동이 없는’ 운동이 저조한 곳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그 이유는 무엇일까? 충북에서는 농민들을 지주계급의 지배 및 수탈에 저항하는 계급적 주체로 전환하는 일에 실패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는 대다수가 문맹이고 사회의식이 낮은 농민들 스스로의 역량만으로는 도저히 해결할 수 없는 것이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식민지 지배체제와 농업 수탈기구를 체계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정도의 식견과 안목이 필요한데 이를 뒷받침해 줄 수 있는 존재는 당시에 형성된 혁신적 청년세력 뿐이었다. 그런데 이러한 혁신적 세력의 형성이 충북지역에서는 미약했거나, 존재하였다 하더라도 보수적인 사회문화적 영향으로 그들이 그런 역할을 할 수 없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Rural communities in Korea were affected by 'Land Investigation Business' in 1910's and 'The Plan to Increase Rice Production' in 1920's conducted by Japan. Japan established and expanded administrational organizations in Gun and Myeon, and police organizations as well as various associations(chohap) like agricultural associations, financial associations, and so on. They functioned as bureaucratic bodies and physical suppression organizations of the Government General. These are established to oppress the farmers who resisted these policies and to effectively rule the rural areas. On the other hand, it enacted the Maintenance of the Public Order Act and the others. Under these conditions, peasants in the Chungbuk area established tenant farming unions and developed peasant movements such as a farm tenancy dispute to improve the condition of tenant farming in the early 1920s. Tenant farming unions were founded in seven guns such as Boeun, Okcheon, Jincheon, and the others started from Jecheon-gun. Then under the effect of Chosun Tenant Farming Cooperation, tenant farming unions were founded in Cheongju, Chungju, and Youngdong. Since the Young Adult Association which has an enlightenment nature based on the ability improvement theory dominated the regional society and led the social movements, tenant farming unions could not be out of the influence of this association. Therefore, with diminishing of the movement by the Young Adult Association, tenant farming unions lost their reason for being. The change of direction of social movement represented all over the nation in the late 1920's affected peasant movements. 'A spontaneous economic struggle' changed to 'a purposeful political struggle'. The range of main agents of the movement expanded to 'independence farmers' and the tenant farming unions changed and developed to farmers association. In Chungbuk area in 1927, to keep pace with these trends Jecheon Farmers Association was founded that is irrelevant to the tenant farmers union organized previously. Young Adult Association and social movement organizations, the center of regional socialists, led the establishment of Miwon Farmers Association in 1927 and Youngdong Farmers Association in 1929. However, the activity of Miwon Farmers Association, reorganized organization of Sandong Rural Organization, was weak enough not to be recognized as the affiliated organization of All Farmers Alliance. Youngdong Farmers Association could not survive and changed to revolutionary farmers association until 1930's. Therefore no farmers’ organizations led by farmers existed in the early 1930's. In Chungbuk area, 'there are farmers but not farmers movements' in the perspective of farmers movement. Then, what is the reason? That is because in Chungbuk the farmers did not turn to the class subjects who resist to the domination and exploitation of the landed class. The majority of farmers were illiterate and had low social consciousness. Their abilities fell short of solving this problem. The ones who wanted to arrange with this task require carrying the abilities and insights to comprehend the colonial domination system and the agricultural exploitation organization systematically. The innovative Young Adult Association was the only one which held enough strength to solve the problem. But the form of this force was weak in Chungbuk and even if this existed, it may be not be able to play the role in the influence of conservative social and cultural atmosphere in Chungbuk a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