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茂長起包>와 <茂長布告文>에 대해서는 농민전쟁 당시 혹은 직후부터 그 사정을 정확하게 알려주는 자료들이 적지 않았다. 그러나 이러한 자료들이 본격적으로 발굴된 것은 해방 이후, 특히 동학농민전쟁 100주년에 즈음하여 자료에 대한 대대적인 자료 발굴, 조사가 이루어지면서부터였다. 식민지 시대에 들어 ‘근대적’ 방법에 의한 역사연구가 시작되면서 고부민란과 농민전쟁을 분리하여 이해하려는 연구가 나오기 시작하였고, 대부분의 연구자들이 <무장포고문>의 내용을 인용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무장기포>나 <무장포고문>이 무장에서 일어난 일임을 확인하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필요했다. 특히 흥미로운 것은 다보하시 기요시의 연구(1940) 이후 <무장포고문>의 발포장소와 시기가 무장인 것으로 이해하기 시작하였으나, 그 시기가 3월 20일이 아니라, 4월 7일 황토현 전투에서 승리한 농민군이 정읍, 흥덕, 고창을 거쳐 4월 9일 무장을 재차 점령한 이후라는 주장이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매우 오래 동안 받아들여졌다는 점이다. <무장기포>와 <무장포고문>에 대한 정확한 이해는 한우근의 선구적 연구를 거쳐 신용하에 의해 이루어졌다. 물론 현재에도 이와 다른 주장을 제기하는 연구자들이 없지 않으나, 활용하는 자료나 논지의 전개 면에서 설득력이 있는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Data informing the situation accurately for <the Mujang uprising> and <Mujang declaration> at time of Peasants’ War or immediately after that were not a little. But, what these data have been excavated was by the 1970s after the liberation, especially lots of new data have been known as the extensive data excavation and investigation for these data on the occasion of the 100thanniversary of Donghak Peasants War. The research aiming to separated and understand the Gobu riot and Peasants War started to come out as the research of history by the modern method is commenced when it enters the colonial era, most or researchers started to quote the content of <Mujang declaration>. But it needed a long time to identify that <the Mujang uprising> or <Mujang declaration> occurred in Mujang. Especially, what is interesting is that the time is not March 20, even though the firing place and time of Mujang declaration started to be understood Mujang after the research of Dabohashi Giyoshi, it is the point that the assertion that is after Mujang is occupied again in April 9 as the Peasant army having won the Hwangtohyun battle in April 7 passing through Jeongeup, Heungduk and Kochang has been accepted by lots of researchers for a long time. The accurate understanding for <the Mujang uprising> and <Mujang declaration> has been realized passing through the pioneering research of Woo Keun HAN. Of course, even though it isn’t that there are no researchers raising the different assertion at present, it doesn’t seem to have the persuasive power in the aspect of data to be utilized or deployment of poi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