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의 목적은 인식은 어떻게 가능한가, 또는 지식의 획득은 어떻게 가능한가라는 질문을 중심으로 칸트 철학과 교육의 해후 가능성을 검토하는 데에 있다. 경험론과 합리론으로 대변되는 전통적인 철학적 인식론에서부터 근대의 칸트, 그리고 함린과 페트리 등에 이르는 현대적 견해에 이르기까지 이 문제가 인식론의 핵심으로 등장한 데에는 그 이면에 인식의 기준과 과정의 일치 문제가 가로놓여 있기 때문이다. 이 글의 관점에서 볼 때, 칸트는 인식을 개념과 이념의 중층구조로 설명하고자 하며, 이 점에서 인식의 기준과 과정의 일치에 관한 한 가지 견해를 제시한다. 그러나 그의 견해는 인식을 사후적 관점에서 후향적으로 설명하며, 따라서 교육학적 관점에서 재해석될 여지가 있다. 교육이라는 실제적, 전향적 활동을 염두에 두면, 지식의 획득은 이념을 출발점으로 하여 다시 이념을 종착점으로 하는 행위이며, 이 경우에 이념은 지식의 획득 과정에 부단히 그 기준으로 작용한다. 칸트 철학과 교육의 교차점과 분기점은 여기서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reunion of Kant’s transcendental philosophy and education from the viewpoint of a epistemological question, that is, how one can something or acquire knowledge about something. From the classical epistemology such as empiricism and rationalism to modern theories such as Kant, Hamlyn, and Petrie’s, the question plays the key role in epistemology because behind it there is an another question, criteria-process concord in knowledge acquisition. According to this study, Kant’s view explains knowledge acquisition as twofold structure of ‘concept-idea’, it shows the one thing about criteria-process concord. But his view shows the regressive viewpoint of knowledge acquisition, so it can be reinterpreted by educational epistemology. Education is practical and progressive activities. In these activities, so-called ‘idea’ is not only starting point but also terminal point in knowledge acquisition, and we can say that it is criterion of the process of knowledge acquisition. Here is the crossing point of Kant’s view and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