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유가 사상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다양하게 변천 또는 발전해 왔다. 이러한 변천 및 발전 속에서 유가 사상의 근본 정신은 그 영속성을 유지하면서 긴 계보를 이루어 왔다. 이것이 바로 유학의 학적 전통인데, 이러한 학적 전통은 유학의 도통과 함께 경서를 근간으로 하여 형성되고 전개되어 왔다. 그러나 도통과 경서는 서로 다른 범주를 이루고 있다. 때문에 이 둘을 동시에 논하는 것은 쉽지 결코 않은 일이다. 그래서 본 고에서는 유학의 도통에 관한 논의들을 그 학적 전통 속에서 살펴보았다. 이는 유가 사상의 연속성과 학적 체계성에 대한 전체적이고 종합적인 이해를 위해 꼭 필요한 작업이었다. 그리하여 도통을 보는 관점과 그에 대한 논의들은 유가 사상의 연속성에도 불구하고 유학의 학적 전통 속에서 다양하게 변천되거나 발전되었음을 알아 보았다. 먼저 선진 시기의 유학의 도통은 孔子에 의해 자각되고 孟子에 의해 그 정통성이 주창되었다. 그러나 그 후 漢 代 및 唐 代 유학의 흐름 속에서 유학의 도통은 별 다른 중시를 받지 못했다. 그러다가 唐 후기 韓愈와 李翶에 의해 다시 중시되었고, 이후 朱子에 의해 도통관이 확정되었다. 그렇지만 韓愈 이후로도 도통의 정통성에 대한 이견이 계속 제기되어 왔다.


Confucian Philosophy has been proceed and progressed according as the times changed. And the fundamental values and spirits of Confucianism have been succeeded and continued through the long process of the times. This paper studied the processes and progresses of Do-Tong(道統) that was discussed in the philosophical tradition of Confucianism. It is the aims and purposes of this study to obtain the general and whole understanding of philosophical scheme of Confucianism.At first the Do-Tong(道統) of Confucianism was awakened and groped by Confucius, and the orthodoxy of that was initiated by Mencius. But no philosophers of Han(漢) and Dang(唐) took a serious view of that. From that time on, Han-You(韓愈) and Lee-Ko(李 ) provoked that again, and Chu-She(朱熹) confirmed the legitimacy of that. By the way, the system of that had been discussed continually due to a historical viewpoint of Confucianism. For example Seok-Kae(石介) and Son-Bok(孫復) emphasized the continuity of Do-Tong(道統) before Chu-She(朱熹), and many philosophers of Cheong(淸) stressed the historical spirits of Confucianism which was inhered in t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