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에서 필자는 데리다의 해체론이 어떤 윤리적 성격을 갖고 있으며, 그 배경은 무엇인가 하는 물음에 답하려고 시도하였다. 그 결과 해체의 전략 자체 속에 높은 윤리적 의무감, 깊은 책임감과 함께 구체적 실천을 위한 결단의 논리가 내포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해체의 실제, 즉 이중 독해 자체가 이미 무제약적 명령에 따른 사회적 실천임을 밝혔다. 더 나아가 해체의 원리와 실제를 결정짓는 계기들, 차연, 흔적, ‘clture’ 등을 규정함에 있어서 데리다가 하이데거와 레비나스 사이를 어떻게 동요하고 있는지를 가능한 한 정확히 파악하려고 노력하였다. 결론에서는 이중의 긍정이 해체적 윤리의 근본정신이 됨을 밝혔다. 이것은 한 마디로, 항상 남에게 아낌없이 베풀 준비를 하고 살라는 것이다. 이로써 해체는 어떤 의미로든 비판이 결코 아니며, 무책임한 말장난도 아니며, 망서림의 철학도 결코 아니라는 것이 밝혀졌기를 바란다.


In this paper I tried to answer to the questions, what sort of ethical characteristics the deconstructionism of Jacques Derrida has and where are the main resources of them. As a result, I could make certain that the strategies of deconstruction in themselves contain as well high moral consciousness of duty and deep responsibility as general moral principle for concrete moral decisions. Besides, that deconstructive practice, i.e. double reading as such already a serious social conduct dominated by unconditional order. Moreover, I endeavored to explicate how Derrida oscillates between Heidegger and Levinas for determining the moments which are constitutive for the principle and praxis of deconstruction, for example, diffrance, trace, clture. Above all, disclosing the way how Derrida appropriates Levinasian metaphysical Ethics, I devoted myself to confirm what is Derrida’s original contribution. As final concluson of my essay I could specify the essential and material principles of ethics of deconstruction as hant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