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17세기에 새로운 학으로 등장한 과학과의 대결 속에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고자 한 근대철학의 이념을 관념론으로 확인하고, 관념론의 인식론적 과제와 이를 비판적으로 극복하고자 한 후설의 현상학이 지닌 의미와 해석학과의 연결 고리를 확인하고 관념론의 전망을 가늠해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갈릴레오의 견해 속에 함의된 현상과 실재의 대립관계를 그대로 수용한 데카르트는 근대 철학의 근본 모형인 마음의 세계를 확립했다. 마음의 세계를 근간으로 한 인식론의 확립은 결국 해결할 수 없는 몇 가지 난제를 지닐 수밖에 없는데, 그것이 바로 물자체(세계의 인식론적 원형), 자아, 그리고 세계와 자아 사이의 연결고리를 마련하기 위한 신의 문제이다. 현대철학은 이런 문제를 더 이상 실재의 문제로 취급하기를 포기하고 언어적 전회를 통해 논의를 시작하나 결과적으로 같은 지점을 벗어날 수 없음을 보여 주고 있을 뿐이다.후설은 근대철학의 원형인 데카르트의 사유를 더욱 근원적으로 사유하기를 주장하고 판단중지와 환원의 과정을 거쳐 철학의 사유 대상으로서 새로운 '현상'을 보여주며 이를 해명하는 것을 자신의 철학적 과업으로 삼았다. 우리는 후설이 보여주는 '현상'이 데카르트가 발견한 '현상(관념)'과 어떻게 다른가를 확인할 수 있다면 새로운 사유를 시작할 수 있을 것이다. 후설의 작업 속에서 우리는 과학적 사유가 배제한 세계의 귀환과 동시에 자아의 생동적인 활동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자아의 생생한 활동이 바로 철학함이다. 철학함이 세계와의 관계에서 어떻게 구체적으로 나타나는가를 보여 주는 것이 해석학의 작업이다. 우리는 해석학적 사유가 관념론의 현대적 모습인지를 철학적 전망 속에 되물어 본다.


In this paper, I certify Idealism as the idea of modern philosophy to establish the self-identification of philosophy that contests against natural science appeared as a new science in 17th century. I clarify epistemological problems of Idealism and the meaning of Husserl's phenomenology which had critically tried to overcome this problems. Then I consider the relation between Husserl's phenomenology and Hermeneutics. I expect to take a new turn of idealism by the considerationDescartes, who accept the opposition between reality and appearance in Galileo' opinion, established the world of mind(Cogito) to be a new model in modern philosophy. The theory of knowledge based on the world of mind has a few problems : They are about thing-in-itself(original world), ego, God as an evidence for connection between world and ego. The contemporary philosophy gives up to deal with the problem of reality and makes a 'linguistic turn' to resolve the problems. But many arguments of contemporary philosophy about epistemological a poria have not found a solution in effect.Husserl demands to think over Descartes' thought radically and presents the 'phenomenon' as a philosophical object through Epoch and reduction. He takes philosophical task to elucidate it. If We distinguish the difference between Husserl's phenomenon and Descartes' idea, We can begin a new thinking. We recover the world and the actual Ego removed by the scientific way of thinking. The vivid activity of Ego is exactly philosophizing. The task of hermeneutics is to show the philosophizing this concrete world. We should ask again whether the hermeneutical thinking is the contemporary form of ideal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