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의 주된 목적은 한국 철학이 로티의 자문화성과 포르넷 베탕쿠어의 상호문화성을 상호보완적으로 발전시킨다면 문화 간의 철학적 대화를 이끌어갈 수 있는 새로운 문화적 패러다임이 가능하다는 것을 제시하려는 것이다. 로티의 자문화중심주의는 우선 우리 문화가 어떻게 문화적 자생력을 거부하지 않으면서도 전통 문화와 기존 철학의 독단을 떨쳐버리는지를 제시한다. 로티의 자문화중심주의는 문화적 정체성을 찾고자 하는 우리의 시도를 이론적으로 뒷받침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자문화중심적인 시도는 자기 비판적으로 문화적 정체성을 형성시켜줄 방법을 제시하지만 문화 교류에서 발생하는 정치・사회적 문제에 대해서는 여전히 자기중심적인 태도를 견지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필자는 다른 문화와의 열린 만남과 소통을 통해 각각의 문화들이 서로 동등하게 변화하고 발전할 수 있는 방법을 포르넷 베탕쿠어의 상호문화철학을 통해 제시한다. 상호문화철학은 라틴 아메리카의 실질적인 역사적 경험을 통해 어떻게 한 문화가 다양한 문화들과의 교류 속에서 서로 동등한 대화의 관계로 발전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자문화성과 상호문화성의 상호보완적인 발전을 통해 한국 문화는 내적으로 자생적인 문화를 발전시키면서도 자기비판의 고삐를 놓지 않을 것이며, 문화적 교류에 있어서 다른 문화들에 개방적으로 다가가면서 동등한 대화를 이끌어내면서 우리 문화의 한계를 탈피하고 다른 문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게 될 것이다. 이렇게 자문화중심주의와 상호문화철학의 방법에 입각해 문화의 정체성과 문화 간의 대화를 성공적으로 이루어낼 때, 한국 철학은 새로운 문화의 패러다임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In dem vorliegenden Beitrag geht es darum, dass ein neues Paradigma der Kultur möglich sei, nach dem die koreanische Philosophie einen Dialog zwischen verschiedenen Kulturen führt, nur wenn sich diese Philosophie aus der ethnozentrischen Auffassung bei Rorty und der Interkulturalität bei Fornet-Betancourt komplementär entwickeln würde. Hierbei vertritt Rorty die ethnozentrische Auffassung, dass sich eine existierende Tradition ihrem philosophischen Dogma entzieht, indem sie nicht die selbst-generierende Kraft verweigert. Dadurch hoffe ich, dass unser Versuch zu einer kulturellen Indentität zu rechtfertigen ist. Dieser ethnozentrische Versuch zeigt zwar, wie eine Kultur ihre Identität selbstkritisch herausbildet, und kann in politischen und sozialen Problemen, die aus kulturellen Austauschen heraus entstehen, auf seinen Zentrismus beharren. Demnach schlage ich vor, dass sich jene Kultur nach der interkulturellen Philosophie bei Fornet-Betancourt durch das offene Treffen und die Kommunikation symmetrisch verändern kann. Dieses zeigt die Interkulturelle Philosophie durch historische Ereignisse in Lateinamerika. Durch eine komplementäre Entwicklung zwischen dem Ethnozentrismus und der Interkulturalität ist die koreanische Kultur intern als ihre eigene Auffassung selbstkritisch zu betrachten und extern als symmetrischer Dialog mit anderen Kulturen während des Austauschs zu führen. Mit diesem Prozess ist die koreanische Philosophie als ein neues Paradigma der Kultur herauszubild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