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아리스토텔레스는 <니코마코스 윤리학> 제6권에서 실천행위(praxis)와 제작행위(poiesis)를 다음과 같이 구별하고 있다. 제작행위의 목적은 제작행위 그 자체와는 다른 어떤 것이지만, 실천행위의 목적은 실천행위 그 자체와 같은 것이다. 즉 실천행위의 목적은 ‘잘 행하는 것’(eupraxia)이다. 다른 한편으로 아리스토텔레스는 실천행위가 행복하게 살기 위한 수단인 것처럼 말하고 있다. 이와 같은 딜레마는 다음과 같이 해소할 수 있다. 실천적으로 가치 있는 행위의 가치가 그 행위의 결과인 행복하게 사는 것의 가치로부터 파생한다고 해서, 그러한 행위가 행위 그 자체와는 다른 목적을 갖고 있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잘 행하지 않으면서 행복하게 살 수도 없고 행복하지 않으면서 잘 행할 수도 없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우리는 ‘잘 행하는 것’과 ‘행복하게 사는 것’을 논리적으로 갈라놓을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행복하게 사는 것이 실천적으로 가치 있는 행위의 결과라 하더라도, 그러한 행위는 그 자체가 행위의 목적이기 때문에 행복하게 사는 것과 불가분리적인 관계에 있다. 즉 행복하게 사는 것은 잘 행하는 것의 목적임과 동시에 결과이다. 이런 의미에서 실천행위의 가치는 행위의 결과인 행복하게 사는 것에 있음과 동시에 행위 그 자체에 있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딜레마를 해소하는 또 하나의 방법은 전통적으로 ‘수단’(means)이라고 번역해왔던 그리스어 ‘ta pros to telos’를 ‘목적을 실현하는데 기여하는 바의 것들’, ‘목적을 촉진시키는 것들’, ‘목적과 긍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들’ 등의 의미로 해석하는 것이다. ‘목적을 실현하는데 기여하는 바의 것들’은 목적을 구성하고 있는 것들 혹은 목적을 목적으로서 존립하게 하는 구체적인 구성요소들이 될 수도 있다. 우리는 사지(四肢)를 문지른 결과로서 사지가 따뜻하게 되는 것과 따뜻하게 하기 위한 수단인 문지르는 것이 둘 다 건강이라는 목적을 존립하게 하는 ‘구성요소’라고 말할 수도 있는 것이다. 우리는 실천행위에 대해서도 똑같이 말할 수 있다. 즉 행복하게 살기 위한 수단으로서 ‘잘 행하는 것’은 ‘행복한 삶’이라는 목적을 존립하게 하는 ‘구성요소’라고 말할 수도 있는 것이다.


On the one hand Aristotle seems to insist that practical acts are intrinsically good. On the other hand his doctrine of certain connected concepts is such that as a consequence practical acts must be considered good due to their being means to eudaimonia. This Aristotelian dilemma challenged by commenters. Cooper bases his attack on a consideration of Aristotle’s account of deliberations. Deliberation is not just concerned with means in a strictly causal sense, but with things that contribute to the end. And these may also be constituent parts of complex ends or particular things that a given end may be seen to consist in. The difference between energeia and kinesis implies the distinction between praxis and poiesis. In kinesis such as 'building a house' and 'trying to save a child from drowning' we cannot sever, logically, 'the act' from the intended act-result, since no act will be left once that logical operation has been performed. The definition of poiesis relies on the possibility of such severance. But the fact that an act is kinesis has no implications whatever for the question whether it is a praxis or poiesis.


On the one hand Aristotle seems to insist that practical acts are intrinsically good. On the other hand his doctrine of certain connected concepts is such that as a consequence practical acts must be considered good due to their being means to eudaimonia. This Aristotelian dilemma challenged by commenters. Cooper bases his attack on a consideration of Aristotle’s account of deliberations. Deliberation is not just concerned with means in a strictly causal sense, but with things that contribute to the end. And these may also be constituent parts of complex ends or particular things that a given end may be seen to consist in. The difference between energeia and kinesis implies the distinction between praxis and poiesis. In kinesis such as 'building a house' and 'trying to save a child from drowning' we cannot sever, logically, 'the act' from the intended act-result, since no act will be left once that logical operation has been performed. The definition of poiesis relies on the possibility of such severance. But the fact that an act is kinesis has no implications whatever for the question whether it is a praxis or poie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