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포퍼와 같은 반증주의자는 이론과 경험이 일치하지 않을 때 이론에 연연하여 어떻게든 그것을 정당화하려고 애쓰지 말고, 보다 포괄적인 새로운 이론을 찾아서 미련 없이 떠나라고 권고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론적 권고에 대한 쿤의 비판은 과학의 역사상 이론과 경험의 불일치가 이론을 거부하는 이유가 된 적은 없었다는 것이었다. 쿤의 이 비판으로 비판적 합리주의자들은, 당장의 반증 자료를 근거로 이론을 포기하는 것보다는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여 스스로를 입증하도록 반증된 이론에 새로운 기회를 주는 것이 더 합리적임을 깨닫게 되었다. 라카토스의 과학적 연구프로그램의 탄생은 이러한 깨달음의 결과로 보인다. 그의 과학적 연구프로그램의 방법론에 따르면, 변칙사례에 직면하면 과학자는 이론을 포기하는 대신, 보호대를 수정함으로써 그 변칙사례가 이론을 확인하게 만들 새로운 기회를 주어야 한다. 자료와 이론이 서로 들어맞게 하려고 보호대를 수정하는 구체적인 방법이 긍정적 발견법인데, 그것에의 접근로는, 시인이 자신의 시를 위한 사상을 얻거나 악상이 작곡가의 머릿속에 떠오를 때 종종 그러하듯, 논리적 논의가 불가능할 정도로 사밀하고 신비적이지는 않다. 라카토스의 긍정적 발견법은 폴리아의 수학적 발견법에서 영감을 받은 만큼, 폴리아가 자신의 수학적 발견법을 논리적으로 다루었듯 나 역시 라카토스의 긍정적 발견법을 논리적으로 다룰 수 있다고 생각한다. 나는 이러한 믿음에서 긍정적 발견법의 개념을 이론의 잠재력 테스트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방법론적 장치로 분석하고, 라카토스는 그 장치에 의해 반증주의의 순간적 합리성을 새로운 신중한 합리성으로 교체할 수 있었다고 주장한다.


The falsificationist like Popper advises a scientist in the face of anomalous experiences to give up his theory and search for a better one instead of making every effort to justify it. Kuhn's criticism on this methodological advice is, however, that no failure to make the facts fit the theory has ever been ground for theory rejection in history of science. The criticism led critical rationalists to become aware that it would be more reasonable to offer a falsified theory more new opportunities to realize its full potential for proving itself than to reject it on the basis of the current falsifying data. Lakatos' scientific research programmes seem to come into being as a result of the above awareness. According to the methodology of scientific research programmes, faced with an anomaly the scientist should not so much give up his theory as provide it with a new chance to make the anomaly conform by modifying its protective belt. Concrete suggestions on how to alter the protective belt to make a data-theory fit are called positive heuristic, the way to which is not too private and mysterious to discuss rationally, as is often the case with the process in which the poet gets an idea for his poem or a musical motif comes into the mind of the composer. Since it is inspired by Polya's mathematical heuristic, I believe I am allowed to treat the positive heuristic so much logically as Polya dealt with his mathematical heuristic in that way. With this belief I analyse the concept of positive heuristic as a methodological device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testing potentiality of a theory, and argue that it enables Lakatos to substitute his new rationality in hindsight for the falsificationist instant ration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