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의 목적은 먼저 아우구스티누스의 악 개념을 그 핵심에서 파악하고, 다음에 그의 악 개념의 주요 문제점들을 현상학적으로 비판하는 데 있다. 아우구스티누스의 악 개념은 세 가지로 제시될 수 있다. 첫째, 악은 자유의지 자체가 아닌 그것의 잘못된 사용에서 비롯된 행동을 말한다. 둘째, 이러한 악의 유래는 ‘탓할 욕망’이 된다. 셋째, 사람이 탓할 욕망을 품게 되는 까닭은 그가 오만해졌기 때문이다. 우리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악 개념을 세 가지로 비판할 수 있다. 첫째, 악은 그것이 피해와 관련하여 ‘저지름과 당함의 얼개’를 갖는다는 점에서 규범을 어기는 것과 같은 죄와는 다르다. 둘째, 악은 마음 자체로부터 인과적으로 발생하는 게 아니고, 타인의 마음의 선악 상태에 대한 올바른 판단은 불확실할 수밖에 없다. 셋째, 만일 우리가 이 세계가 선하고 완전한 신에 의해 창조되었다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전제를 받아들인다면, 이 세계에 악이 들어설 자리는 없게 된다. 우리는 이 논문에서 아우구스티누스의 악 개념이 갖는 몇 가지 문제점을 비판해 봄으로써 악의 개념을 형성하는 데 좀 더 많은 요인들을 검토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paper firmly grasps Aurelius Augustine's concept on evil from the very heart of the subject, points out and criticizes major problems of the concept from the viewpoint of phenomenology. Augustine's concept on evil can be presented as the following three: (1) The evil refers to the act resulted from the improper use of free will, not the free will itself. (2) The evil's origin is the people's desire to blame. (3) The reason people have such a desire is because man has grown arrogant. As for the concept of Augustine, it is possible to criticize it with the following three arguments. First, evil is different from a crime such as breaking rules in that evil, in regard to harm and damage, shows certain structure made up of commission and suffering. Second. as evil doesn't occur from cause and effect, it is uncertain to judge whether one's mind is good or evil. Third, there is no place for evil in this world, if we accept the premise of Augustine that the world was created by good and perfect god. By discussing some problems in Augustine's concept on evil, what is obvious in this paper is that it requires further checkup on more factors that consist of the concept on ev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