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장 피아제의 발생학적 인식론의 탐구 방법론에 관하여 역사적으로 제시된 중요한 비판들을 분석하면서, 피아제의 방법론의 장점과 단점을 동시에 지적하고자 한다. 그러나 전체적으로는 피아제의 구조주의 방법론이 기존의 기계론적 방법론보다 우월하다는 것을 논증하고자 한다. 역사적으로 제시된 피아제에 대한 중요한 비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피아제는 자연적 사고의 특성을 오직 논리적 추론의 수준을 통해 특성화한다. 둘째, 피아제는 검증가능성의 원리와 오류가능성의 원리를 엄격하게 준수하지 않는다. 따라서 피아제의 이론은 과학적이라고 할 수 없다. 셋째, 피아제의 이론은 엄격한 인과적 설명을 제공하지 못하기 때문에 과학적으로 충분한 설명을 제공하지 못한다. 필자는 이러한 비판들을 다시 비판한다. 첫째, 피아제의 관심은 인지발달원리이지 자연적 사고 일반이 아니다. 따라서 추론적 능력과 관련된 논리적 구조를 강조하고 해명하려고 한 피아제의 관점은 부당하지 않다. 둘째, 검증 가능성의 원리를 과학과 비과학의 구분의 기준으로 수용해야 하지만, 메타-이론과 같은 상위의 이론은 경험적으로 검증되는 것은 아니다. 피아제의 이론은 개별적 문제에 대한 이론이 아니라, 인식론이라는 메타-이론이다. 따라서 검증가능성과 오류가능성의 원리를 피아제의 이론에 적용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 셋째, 인과론적 설명은 가능한 다양한 설명 유형들 중의 오직 한 유형일 뿐이다. 뿐만 아니라, 인과론적 설명은 구조적 설명보다 덜 생산적이고 덜 발견적이다.


I try to in this papers analyze critically the important critiques about the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of Piaget's genetic epistemology. A number of critical argument against Piaget might be summarized : 1) Piaget does not fellow the trend of modularization customary of in psychological research ; 2), Piaget' experiments looks very simple but are, in fact, too complex for a detailed analysis of what is happening ; 3) though Piaget sees a the child as actively constructing his world, all his experimental tasks are structured by the experimenter ; 4) Piaget says that language is unimportant in cognitive development, but his clinical method is very verbal even when the child manipulates material. The rapid sequence of questions confuse even an adult, so it is not astonishing that the child fails ; 5) Piaget's attempt to use logic in his effort to understand children's thinking is misguided, because there are basic differences between logic and natural thinking ; 6) Piaget's theory is so global and vague that it cannot be falsified ; 7) Piaget give no satisfactory explanations, because he does not look for antecedent and consequent sequences. But I have tried to prove that these critiques are due to not knowing of the differences between empiricist-positivist paradigm and Piaget's structure-constructivist paradigm. American psychologists raised on an empiricist-positivist view of science have simply Piaget as non-scientific, ignoring the merits of Piaget's structure-constructivist explanation different from the mechanistic which is dependent mainly on antecedent-consequent sequ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