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후기 비트겐슈타인의 말놀이의 기제를 통해 대학사회의 기능을 조명해 보고, 이것을 한국대학의 대학다움을 회복하는 지렛대로 제공하려는 목적을 갖고 있다. 이런 시도의 근거는 일상 언어적 맥락에서는 대학사회를 놀이처럼 살아있는 기제라고 보기 때문이다. 후기 비트겐슈타인에 따르면 모든 사태는 말놀이의 사건들이라고 본다. 놀이는 여러 가지로, 그 모습이나 구조 혹은 목적은 서로 각기 다르다. 그러나 각각은 모두가 완전한 문법으로 작동되는 기제를 갖고 있다. 기제의 완전성은 현실적 통용/사용을 통해 증명된다. 필자는 그 놀이 중에서 본인에게 익숙한 장기를 통해 놀이의 특징을 이해하려고 시도하였다. 장기는 오랜 역사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성행되는 ‘살아있는 놀이’이다. 그것의 살아 있음의 특징은 첫째, 수를 깊이 생각할 수 있게 하고, 둘째, 대국자의 주의를 집중할 수 있게 하며, 셋째, 판을 읽는 선견과 지혜를 필요로 하고, 넷째, 행마의 찬스를 포착하되 결과를 예측하기 어려우며, 다섯째, 대국자(관찰자)가 재미있어야 한다는 등이다. 이런 것을 가능하도록 장기는 한국, 중국, 일본에서 다르게 발달되기까지 했다. 한편, 서양의 대학사회의 기제는 내용을 제외하면 장기의 그것과 마찬가지다. 첫째, 독립성과 자율성이다. 둘째, 대학은 진리에 대한 탐구의 무한한 추구를 보장했다. 셋째, 교수와 학생의 권위가 철저히 인정되고 보장되었다. 넷째, 그러면서도 대학은 시대와 현실의 맥락을 수용했다. 다섯째, 그 결과 서구 대학은 부단히 사회의 지도력을 재생산하고, 정열적인 두뇌들의 유입을 가능하게 만들었다. 이런 비교를 통해 한국대학사회의 운용의 문법과 법칙을 필자는 제시한다. 첫째, 자유로운 학문연구와 진리탐구를 위한 대학의 독립과 자율의 유지와 신장. 둘째, 물량적 실적주의의 왜곡된 시각의 철폐 및 다양한 가치관의 공존과 확산. 셋째, 대학들마다의 고유한 역할과 목표 설정을 통한 발전의 모색. 결국 필자는 여기에서 총체적으로 한국의 왜곡된 대학의 문법과 규칙의 개선을 기대하는 긍정적 시각을 피력하고자 시도하고 있다.


The essay seeks to interpret what kind of roles the university has to play by way of the mechanism the eastern chess-games do, particularly in Korea, China and Japan. According to later Wittgenstein, all kinds of states of affairs are to be regarded as ‘Language-Games.’ And all of them have their own grammars and rules which are at work to be able to make people communicate one another by way of their usage. Ordinary language confirms this kind of mechanism; for it is at work everyday, but otherwise it will go holidays!Chess-game in eastern countries have been long time played, for it has reasons as follows: making players think deeply, letting them focus on moves, asking for reading correctly and insights, having them not know the results, making them enjoy the game itself. This mechanism applies to the western university system which has been long time used with a little alteration. To be able to do that, it has several characteristics: its independence and self-control, unlimited confirmation for the free research for truth, guarantee of authority of professors’ and students’, continuous allowance and reproduction of changeable realities and leadership. Applied to Korean academic society, the ‘Language-Game’ mechanism asks for the grammar and rules: the university’s independence and self-control for academic researches and truth-seeking, various and dynamic points of view to overcome the recent distorted perspectives of materialism, building up of the proper and adjusted own targets and purposes of each university’s. The writer seems to approach to the possibility of development of Korean universities by way of positive perspectives which, however, might not be perfect at the mo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