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개인과 국가 간의 괴리로 인해 민주주의가 위기에 처할 때 공화주의는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또한 대한민국이 민주공화국임을 표명하듯이 민주주의는 공화주의와 함께 제대로 작동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공화주의는 그 역사만큼이나 다양한 이론으로 구체화되고 있다. 따라서 오늘날 공화주의를 실현하고자 하는 노력은 공화주의의 전통을 확인하는 것뿐만 아니라 오늘날 조건에서 가능한 공화주의를 말해야 하는 어려움에 처해 있다. 많은 학자들에 따르면 지금까지의 공화주의는 고전적 공화주의와 신로마적 공화주의로 구별되며 상호 비판적 대결에 처해 있다. 그렇다면 공화주의의 현실성을 말하기 위해 정치적 삶과 시민적 덕성을 강조하는 고전적 공화주의와 비지배로서의 자유와 법치를 강조하는 신로마적 공화주의는 어떻게 조화될 수 있을까? 본 논문은 오늘날 민주주의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공화주의의 전통을 추적하며 동시에 이 두 갈래의 공화주의에 대한 종합을 시도한다. 이를 통해 한국 사회에 적용가능한 공화주의의 모습을 보여주고자 한다.


While the liberal-communitarian debate raged during the last two decades of the twentieth century, the impetus for a ‘republican revival’ occurred in the field of a political philosophy. The republican begins by asking how citizens can be capable of self government, and seeks the political forms and social conditions that promote its meaningful exercise. But republican political theory has traditionally two versions. One is the intrinsic(strong) version. Another is instrumental(modest) version. We can distinguish these two versions of republican political theory by the relation between liberty and self-government. Also, first, I want to analyse the two traditions of republican political theory with Aristotelian and Machiavellian republicanism, and deal with the modern versions of republicanism. Second, I want to synthesize the two traditions in modern condition. My Strategy is to expand the conception of citizenship. According to the republican conception of citizenship, to be free is to share in self rule. This is more than a matter of voting in elections and registering my preferences or interests. On the republican conception of citizenship, to be free is to participate in shaping the forces that govern the collective destiny. But in order to do that, and to do it well, it is necessary that citizens posses or come to acquire certain qualities of character, or civic virtues. Therefore, in the concept of citizenship we can see all of this emphasis on the individual freedom and civic virtu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