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에서 우리는 비고츠키의 ‘언어’개념을 ‘언어와 사고의 관계 문제’를 중심으로 해명해 보고자 하였다. 먼저, 언어와 사고의 관계에 대한 다양한 이론들을 소개하면서, 특히 피아제와 비고츠키가 어떠한 점에서 이론적 차이가 있는지를 간략히 살펴보았다. 그런 다음, 비고츠키의 이론에서 언어의 발달과정과 사고의 발달과정을 각각 단계별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이는 언어와 사고의 관계 문제를 논의하기 전에 반드시 선행적으로 검토되어야 할 부분이었다. 왜냐하면 비고츠키에 있어서 언어와 사고는 서로 다른 경로를 따라 독립적으로 발달하다가 2세 전후의 특정시기에 서로 교차하게 되면서, 이때부터 사고는 언어적인 것이 되고 언어는 지적인 것이 되기 때문이다. 비고츠키는 특히 언어와 통합된 이후의 사고를 ‘언어적 사고’라고 명명하였다. 끝으로, 이러한 언어적 사고의 구조를 통해 언어와 사고가 어떠한 관련성을 갖게 되는지를 살펴보았다. 특히 여기서는 언어와 사고의 관계 문제를 다시 ‘계통발생적 입장’과 ‘개체발생적 입장’으로 구분하여 좀 더 본질적인 의미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ought and language of Vygotsky. One of the first targets of Vygotskys critical analysis was the natu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ought and language in phylogenesis and ontogenesis. His argument ran roughly as follows. Intellect and speech have different genetic roots and they have developed along different lines. There is no fixed correlation between their development in phylogenesis. Anthropogenesis is related to the process of the establishment of a dynamic interrelationship between intellect and speech. In ontogenesis one can discern a preintellectual stage in the development of speech, and a prelinguistic stage in development of thought. At a certain moment these two developmental lines become intertwined, whereupon thought becomes verbal, and speech intellectual. According to Vygotsky, verbal thought is a concept impling that speech functions as thought in developing thought. Also his concept of verbal thought does not separate speech from thought, but it pays attention to the inner relationship between speech and thought. In such a context, understanding verbal thought enables us to understand the verbal functions in developing thought. In short, verbal thought, in the aspect of verbal development, means the state of formation of innner speech, and in the aspect of thought development, the state of possibility of conceptual thou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