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근대 이후의 주체 패러다임의 전개를 근대적 주체성, 탈근대적 주체성, 탈근대적 근대적 주체성으로 분류하고 후설, 푸코, 바디우를 그 각각의 대표자로 세우고 그들의 주체 이론을 사회 개혁과 해방의 실천적 관심에서 비판적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이 목적은 세 가지 목표로 구성된다. 첫째, 실천적 해방의 관점에서 그들이 가지고 있는 주체 이론의 긍정성과 부정성을 적시한다. 둘째, 해방적 실천을 위한 새로운 대안적 주체성의 필요성을 도출한다. 셋째, 기독교의 주체 모형을 대안 후보자로 전망한다.


In this paper I investigate and appreciate Husserl, Foucault and Badiou on subjectivity with the interest of social reform and emancipation. I classify each of them in turn as the representative of modern, postmodern, and postmodern modern theory of subject. This has three aims. First, from the viewpoint of practical emancipation I find out properly the positivity and negativity of their own theories. Second, when it comes to more favourable one to emancipative practice they are shown to necessitate a new alternative subject. Third, I suggest the christian paradigm of subject or self for the competitive candid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