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도산십이곡(陶山十二曲)>과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는 한국의 16세기와 17세기를 대표하는 시조문학이라 할 수 있다. <도산십이곡>이 산수자연을 즐기면서 일상생활에서 주어지는 온유돈후(溫柔敦厚)한 강호가도(江湖歌道)의 정신을 표현하고 있다면, <어부사시사>는 산수자연에서 여가생활을 즐기면서 강호한정(江湖閑情)과 물외한적(物外閑寂)의 감흥을 표현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 수사학적인 측면에서도 <도산십이곡>은 은유(隱喩)의 수사학을 통해서 수직적 계열체의 언어를 반복하고 나열하여 변화하지 않는 동일성의 세계를 함축하는 안빈낙도의 정신을 강하게 표출하고 있다. 이 작품은 시조가 시작되면서 그 뜻이 앞의 내용과 다르게 전개되기보다는 시조의 초장이나 첫 장에 그 의미가 정해져 있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니라 할 수 있다. 그래서 은유의 수사학은 기호와 관념사이의 모순이 없는 등과관계로 연결시켜 보편적이고 관념적인 세계를 드러내기에 편리한 수사학이라 할 수 있다. 은유의 수사학을 통해서 <도산십이곡>은 사대부(士大夫)가 선(善)적인 미의식으로 자연을 바라보면서 온유돈후한 유교적 미의식을 겸선(兼善)이라는 관념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한편 <어부사시사>에 나타난 환유(換喩)의 수사학은 경험적이고 특수한 내용을 통합적으로 확대시켜 관련되는 단어와 문장을 확장하여 통합적으로 그 의미를 확대시키고 있다. 이러한 환유의 수사학을 통해서 <어부사시사>는 자연으로 돌아온 일사(逸士)가 미(美)적인 측면에서 자연을 바라보면서 강호한정과 물외한적의 미의식을 구체적이고 경험적으로 드러내어 독선(獨善)의 경향이 강하다고 할 수 있다. 은유의 수사학이 문맥 내에서 전통지향적이고 정적이고 결정적이라면, 환유의 수사학은 문맥 내에서 미래지향적이고 동적이며 미결정적이라 할 수 있다. 조선중기 <도산십이곡>과 <어부사시사>는 사대부가 정치현실에 나아가 경세제민의 의식을 표출한 시가라기보다는 산수자연에 은거하면서 안빈낙도를 표출하는 시가이며, 사대부들의 출처관(出處觀) 중에서 출(出)보다는 처(處)에 관한 견해가 중심이 되어 형상화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lluminate literary characteristics on Dosansipigok(도산십이곡) and Eobusasisa(어부사시사) in Choson Dynasty through the Creative Intension and the Rhetorical View. The signifiance on Dosansipigok(도산십이곡) and Eobusasisa(어부사시사) is that it has a lot of rheoric used to contain compressed meanings in simple rhythm and stanzas. This has a great inflence upon the development of poetic rhetoric. Nowdays the rhetoric is perceived in the indicative tool of the worldview of writer. Then the Language that man's thinking is established by is must be rhetorical, the rhetorics of poetry are two the metaphor and the metonymy, that these are the two aspects of man's thinking. Metaphor is the rhetoric of identity and it aims for the totality of the subject and object. It is the essential rhetoric on Dosansipigok(도산십이곡). In the case of Dosansipigok(도산십이곡), the subject and nature is identified in the point of emotion. On the other hands, Metonymy is the rhetoric of contiguity. It denies the identity of subject and the world. Eobusasisa(어부사시사) is founded with the rhetoric of metonymy. In the case of Eobusasisa(어부사시사), the deconstruction of images and the arrange of numerous unidentified images are the feature of metonymy and Si-Jos(시조문학). This sort of discussion needs to be popularized and continuous effort spent to elucidate the poetic principles related to the reform or change of work in Si-Jos(시조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