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면암(勉菴) 최익현(崔益鉉)의 흑산도 유배생활과 소통의 방식에 주목하였다. 그는 화서(華西) 이항로(李恒老)의 영향을 받은 전통 유학자이자 독립운동가로서, 정의로운 사회를 위해 정치현실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면암은 여러 차례 상소문을 올려 중앙 정계와 소통을 갈망했으나, 매번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결국 흑산도 유배에 처해지게 된다. 그러나 현재와의 소통을 꿋꿋하게 지속하고자 했던 그는 정명(正名)을 위해 지식인들과 끊임없이 교유하였으며, 미래와의 소통을 준비하며 자연 속에서 은둔자로서 삶을 살았다. 필자는 본고를 통해 몇 가지 사실을 확인하였다. 면암은 철저히 유가적인 소통 안에서 유배를 제 2의 정치적 현실로 인식하였다. 즉, 공자의 은둔에 기초하여 유배를 미래를 위한 수양과정으로 여겼으며, 현재의 정치적 현실을 직시하기 위해 소통의 자세를 꾸준히 견지하였다. 이를 위해 유배지에서 그가 소통 대상으로 삼았던 대상은 뜻을 같이하는 지식인과 흑산도의 자연이었다. 면암의 유배생활은 체계의 공적 측면으로서 정명(正名)과 인습(因習), 손익(損益)의 면모들을 다 가지고 있다. 또한 사적 측면으로서 은둔자로서의 삶과 맹자가 말한 광자(狂者), 견자(獧者)의 삶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는 어떻게든 체계 안에서 소통 방법을 모색해야 했던 그의 불가피한 선택이었다. 흑산도 유배지에서 그의 이러한 소통 방식은 훗날 그의 항일의병투쟁의 기폭제 중 하나로 작용했다고 볼 수 있다.


This paper concentrated on the life of exile in Heuksando and the communication mode of Myunam Choi, Ik-hyun. He, conventional confucian and fighter for independence influenced by Hwaseo Lee, Hang-lo, participated in reality of politics for realization of just society. Myunam desired to communicate with central political world by the letter several times, but he was rejected always and punished to the exile to Heuksando finally. But Myunam who wanted to communicate with reality consistently attempted to have companionship with intellectuals for Rectification of Names. Also, he lived as a hermit in nature preparating communication with future. I could ascertain several facts by this paper. Myunam recognized exile as the second reality of politics in confucian communication. In other worlds, he regarded exile as development for future, and retained the gesture of communication to look contemporary political world squarely. Objects which he accepted to communicate in the place of exile are intellectuals sharing intension and the nature of Heuksando. The life of exile of Myunam had Rectification of Names, Conventionality, Profit and Loss as official aspects of system. Also, it contained the life of hermit and Gwangja, Gyunja which Maengja named as private aspects. It was inevitable choice which he made to seek communication mode in system anyway. This communication mode which he attempted in Heuksando, a place of exile activitated a primings of anti-Japan struggle with army raised in the chase of just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