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2차 농민전쟁의 과정에서 재봉기한 농민군의 봉기 목적과 반일 항쟁에 대해서 전봉준 등 농민군 지도자의 재판과정을 초점으로 살펴보았다. 갑오개혁 정부와 일본군의 입장에서 일방적으로 기록된 사료들을 활용했던 것에서 벗어나 재판 관련 사료들을 재검토하였다. 1894년 8월말 전봉준, 손화중, 김개남 등은 각기 정세인식을 달리 하고 있었지만, 청일전쟁의 승패와 흥선대원군의 효유와 밀지와 일정하게 영향을 받으면서 재기하였다. 9월 중순 2차 봉기의 목적은 일본군의 경복궁 점령과 국권 침략의 본의를 묻기 위해서였다. 이에 대해 일본군은 학살과 재판의 양면적인 탄압책을 추진하고 있었다. 1894년 12월 이후 전봉준 등 농민군 지도자들은 여러 차례 심문과 재판을 받았다. 당시 법무아문의 권설재판소에서 재판을 담당하기는 했으나 실질적으로는 일본이 개입하고 전과정을 주도하였다. 우찌다 사다즈치(內田定槌) 일본 영사는 전봉준에게 2차 봉기가 흥선대원군의 사주에 의해 일어났는지를 집중적으로 추궁하였다. 당시 취조와 법정 심문 내용을 면밀하게 검토해보면, 전봉준은 흥선대원군과의 연계성을 차단하면서 적극적으로 부인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흥선대원군의 정치에 대해 비판하는 대신 합의제에 의한 정치운영과 독자적인 정국구상을 제기했다. 1895년 3월말 전봉준 판결선고서에는 그가 주장한 것처럼 흥선대원군과의 연계는 제외된 채, 2차 봉기가 반일항쟁이었다는 점만 그대로 실리게 되었다. 그런데 선고 판결에서는 반일농민전쟁의 죄목이 아니라 구래 대명률에서 규정한 반란죄로 규정되었다. 더구나 1895년 4월 신식 재판소 제도의 실시가 예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갑오개혁 정권은 농민군 지도자들을 전격적으로 처형해 버렸다. 농민군 지도자의 처형조처는 조선 갑오개혁 정권과 일본에 공동으로 법적 책임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근대적 사법제도 도입의 의미를 재고케 한다.


This paper explored the purpose of the second Farmers' Uprising and anti-Japanese resistance focusing on the trial process of the farmer leaders such as Jeon Bong-jun. It was an attempt to avoid one-sided historical records written by the Kabo Reform government and Japanese army. The leaders of the first Farmer's Uprising such as Jeon Bong-jun, Son Hwa-jung and Kim Kae-nam had different ideas on the political circumstances around late August, 1894. However, they reunited for uprising influenced by the Sino-Japanese War and Taewongun's secret instructions and orders. The purpose of the second uprising was to ask the responsibility of Japan in their illegal occupation of Kongbok Palace and violating national sovereignty. To suppress the uprising, Japanese army responded with massacre and court ruling. After December in 1894, the leaders of the farmers' army was interrogated and the case was put into a court. The trial was conducted by the lawcourt of the Bureau of Judicial Affairs. But Japan intervened the trial process and even led the whole process. Uchida Sadazuchi, a Japanese consul, interrogated intensively about the involvement of Taewongun in the uprising. If closely looking at the interrogation, Jeon Bong-jun denied the connection between Heungseon Taewongun and the uprising. Instead of criticizing Taewongun, he suggested a new political reform based on the representative council as a new national system. Thus, in the ruling, only the anti-Japanese aspect of the uprising was recorded, and the connection between Taewongun and the uprising was not recorded. However, in the final ruling, he was accused for the revolts on the basis of the old Choson's law, and anti-Japanese characteristics of the uprising was erased. Moreover, even though there was an upcoming opening of the new court system in April, 1895, the Kabo reform government executed the leaders of the uprising relentlessly. For this reason, the responsibility of the execution of the leaders of the farmers' uprising was on Kabo reform government and Japan. This also make us to rethink the implementation of the modern legal system and the meaning of modern law enforc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