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화성유수부의 장용외영 둔전은 기존의 군영 둔전과 일반 아문의 둔전을 혼합한 새로운 형태의 둔전이다. 당시 군영의 둔전이 소재한 고을은 아문의 수령과 군영의 대장이 모두 개별 임명되었기에 아문과 군영은 조화를 이루지 못했다. 정조는 아문과 군영의 명령체제가 일원화된 새로운 지방행정과 군사방어체제를 갖추기 위한 노력으로 수원도호부를 화성유수부로 승격하였다. 그리고 이곳에 설치한 장용영외영의 책임자인 장용외사를 화성유수로 겸임하게 하였다. 이와 같은 화성유수부와 장용외사의 겸직은 조선후기 아문과 군영의 지휘 체제를 일원화한 새로운 시도였고 자연스럽게 둔전 경영도 단순히 화성유수부의 진흥책만으로 추진된 것이 아니다. 특히 장용영 외영은 병농일치(兵農一致)를 전제로 하는 군영 운영제도를 가지고 있다. 병농일치를 기반으로 하는 조선 초기에는 ‘번상입역제(番上入役制)’였다. 번상입역제는 농민이 식량과 피복 등을 스스로 마련하여 입역을 했기 때문에 조정의 재정 부담이 덜하였다. 하지만 임진왜란 당시 훈련도감의 창설로 본격적인 급료병이 생기면서 조정의 재정에 부담을 주기 시작했다. 장용영은 훈련도감처럼 급료를 주는 군영으로 창설되었기 때문에 재정 부담이 클 수 밖에 없었다. 정조는 장용영의 재정 안정을 위해 병농일치를 전제로 하는 둔전 경영을 추진하고자 하였다. 이에 정조는 장용영 둔전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둔전제도 개선에 초점을 맞추었다. 둔전 제도의 개선을 위해 먼저 제언(堤堰)을 축조하였다. 정조는 1778년(정조 2) 1월에 「제언절목(堤堰節目)」을 제정하여 조선 전기 이래의 방천인수(防川引水) 위주 정책에서 벗어나 제언을 중시하는 농업정책을 추진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화성유수부에 1795년(정조 19) 만석거, 1798년(정조 22) 만년제, 1799년(정조 23) 축만제를 축조하였다. 그리고 제언을 기반으로 하는 장용외영 둔전에 군졸이나 노비 등과 함께 장용영 가족들과 유이민(流移民), 그리고 화성유수부의 농민들을 둔전 경영에 참여하게 하였다. 장용영외영의 둔전 경영은 이들로 경작케하여 자급자족을 가능케 하고 군정을 대행하게 하는 방식을 취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장용영외영의 둔전 경영은 기존 군영의 둔전과 차별성을 갖고 있다. 장용영외영의 군전경영이 병농일치와 급료병 제도를 운영할 수 있는 최적의 방법이라고 판단한 것이다. 따라서 정조는 이와 같은 새로운 방식의 화성유수부의 장용외영 둔전의 경영 을 자신의 4대 개혁의 민산(民産)과 융정(戎政)의 중요한 기반이라고 판단하였고 이를 활성화하는 정책을 추진하였다


Jangyong Camp's cleared soil for farming under Hwaseong Provincial Government was a new type of farming land, combined the existing military farm with ordinary authority one. That's why the head of each farm of the region was appointed separately, which lacked cooperation between the government office and the military. King Jeongjo upgraded the Suwon City Government as Hwaseong Provincial Government in an effort to build unified order system between government and military. In addition the head of Jangyong Outside Camp doubled as governor of Hwaseong. Such a concurrent office was an new attempt to centralize the control system of both government office and military in the late Lee Dynasty, which was promoted not only for the promotion of the but also the military farm operation. Especially, Jangyong Outer Camp had the operational system of the military based on a premise for both defense and farming. At the early period of Lee Dynasty, there was a system of self-provision system, which means that the farmer had to provided food and clothes for themselves, which lead to less financial burden on the central government. But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establishment of then training camp produced the salaried soldiers, which in turn began to bring about the financial burden on the central government. Jangyong Camp was set up as Training Camp that pays for the soldiers so it had to be a huge financial burden. King Jeongjo was to drive the operation of military farm land as a premise for both defense and farming for financial stabilization.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military farm land, King Jeongjo had focused on the improvement of the system. Firstly, he built the dike as part of the system. In January of 1778, the King established the Executive Orders of Dike & Irrigation ("Jaeun Jeolmok") meaning the executive orders on dike and irrigation for the agricultural policy focusing on the dike instead of dike&water-conduction policy ever since the early part of the Lee Dynasty. Based on this, Great Reservoir(1795: Jeongjo 19), Great Dike(1798: Jeongjo 22) and Huge Dike(1799: Jeongjo 23) were built respectively under the Hwaseong Provincial Government. And the family members of the Jangyong Camp, nomadic people and farmers under the Hwaseong Provincial Government except soldiers and servants were allowed in the operation of the military farming land. This land operation permitted such people to cultivate for self-provision and at the same time for military administration, which was quite different compared with the existing military one. It was judged that military operation of the Jangyong Outside Camp was the optimistic way for the salaried soldier system for defense and farming together. Accordingly, King Jeongjo concluded that the operation of such Camp under Hwaseong Provincial Government was the first base of his 4 major reformations as civilian production, which was propelled a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