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작도장의 발생 기원은 궁방전의 매득ㆍ확대ㆍ회복ㆍ면세 조치 등 궁방의 경제적 기반을 구축하는데 공로를 세운 자가 도장에 차정된 것이다. 발생 기원의 측면에서 보면 작도장은 궁방과 관련된 인물이거나 궁방과의 연계를 통해 부를 축적하고자 한 인물이 중심을 이루었으며, 궁방과 작도장은 서로의 경제적 기반을 구축하는데 도움이 된 공생 관계였다. 작도장은 장토를 경영하면서 궁방에 상납의 의무를 지고 있었는데, 궁방의 상납액은 장기 고정 또는 하락하는 추세였지만 도장의 수입액은 증가했다. 장토에 대한 궁방의 지배력이 약화되어 간 반면에 작도장의 권한은 강화되어 갔던 것이다. 작도장의 권한이 강화됨에 따라 작도장의 경제적 가치가 상승해 매매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했다. 작도장의 권한이 강화되면서 작도장권에 대한 인식도 변화되었다. 도장권을 매매할 때, 도장권의 매도자는 재산의 주인이라는 의미로 財主라고 지칭하였다. 그런데 19세기 후반부터 도장권의 매도자를 토지의 주인이라는 의미인 畓主라 지칭하는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작도장을 장토 경영을 통해 이익을 획득할 수 있는 권리를 소유한 財主가 아니라 궁방전의 실질적 소유자인 畓主로 인식하였던 것이다. 작도장이 궁방전의 실질적 소유자로 인식함에 따라 궁방과 작도장의 공생 관계는 대립 관계로 전환되었다. 궁방전의 확대ㆍ회복에 기여했던 작도장이 궁방전을 침해하는 존재로 전환되었던 것이다. 작도장의 출현 당시 작도장에 차정된 자는 궁방과 관련된 인물이 중심이었지만, 장기간에 걸친 도장권의 매매로 작도장의 사회적 지위도 변화되었다. 18~19세기 작도장은 부재지주와 같은 존재로 서울에 거주하는 양반층과 상민층이 중심을 이루었다. 대한제국기 작도장의 거주지도 서울이 대부분이었으며, 사회적 지위를 보면 왕실 소속 직원이 작도장으로 일부 존속하기도 했지만, 그 중심은 판임관이거나 판임관에서 주임관 등으로 상승한 하위 관리로 변화되었고, 경제적으로 재력을 지닌 상인이나 일반인도 포함되어 있었다. 대한제국기 작도장권은 사회적 지위의 상승을 도모하며 부를 축적하고자 한 자들의 경제적 기반이었던 것이다.


Originally, a Jakdojang was selected among people who contributed to the economic establishment of royal households. From the view of origin, a Jakdojang was a person who was involved in royal households or who pursued wealth by connection with royal households, and those two shared mutual benefit to establish their financial foundation. A Jakdojang managed farmlands and had obligations to offer tributes, and the amount of the tributes was fixed or decreasing in the long term, but the Jakdojang's income was increasing. This means the authority towards Jakdojang's farmlands was weakened while Jakdojang's power was strengthened. As Jakdojang's power was strengthened, public attitude toward the right of Jakdojang was changed. The seller of the right of Jakdojang was called the 'Jaejoo'(財主), which means property owner, and by the end of 19th century the name tended to be changed into 'Dapjoo', which means landowner. As Jakdojang was regarded as Dapjoo, the actual owner of royal household lands, Jakdojang became interfering unit instead of contributing to expanding royal household lands as it used to be. When Jakdojangs first appeared, the selected Jakdojangs were mostly those who was related to royal households, but they became more 'yangban'(nobleman) or commoners who resided in Seoul. During the era of The Great Han Empire, they mostly lived in Seoul, and in their social status, Jakdojangs were composed of low-ranking officials and those who became high-ranking officials from low-ranking officials, in addition to merchants and commoners with wealth. In this era, the right of Jakdojang was financial foundation of those who pursued the accumulation of wealth and a rise in sta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