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대구 월촌지역에 세거한 양반가인 단양우씨가는 17·18세기에 초기 족계의 단계에서 종계로 전환하는 과정을 겪었다. 이 가문의 종계답 결성이 완료된 다음 해인, 1768년에 종계답 척매를 둘러싼 분쟁이 일어났다. 이때의 분쟁에서 당사자, 문중 구성원, 문중과 관가 사이에 여러 차례의 논의가 있었음을 관련 고문서 자료의 분석을 통해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단양우씨가의 종계답 척매를 둘러싼 족인 간의 분쟁의 핵심은 우홍평의 사회적 위상이 이 가계의 사회위상에만 관련된 것인가 아니면 전체 문중의 위상에도 관련된 것인가에 있다. 단양우씨가 종계답 척매사건을 둘러싼 갈등의 전개 과정은 구체적으로 종계답 척매에 대한 문중내부의 논의와 조정, 조정의 실패와 분쟁의 격화, 문중 내부의 갈등이 관가 소송으로까지의 확대 세 개 단계로 나눌 수 있다. 나아가 단양우씨가의 족산을 둘러싼 분쟁과 전개 과정을 명·청시대 徽州지역에서 있었던 분쟁의 사례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조선후기 향촌사회질서의 형성에 나타난 특징에 대해서 논의해 보았다.


Danyang U family in Daegu Wolchon area experienced two steps of jokgye formation in the 17·18 century. In 1768, a dispute occurred in this family surround selling the property of clan. We can confirm that there were several debates among the person directly involved, the members of clan and the local government in the archive material. The key point of dispute is that wheather the social status of Hongpyong is related to the social status of his family or the social status of whole clan. With this point, the dispute among the members of the clan arose. The process of dispute can be devided into three steps which is are discussion and mediation inside the clan, failure of mediation and the intensification of the dispute, suit to the local government. Besides the analysis of the case, we also use the cases in Huizhou area in Ming·Qing dynasty for comparison to illuminate the features of the dispute about clan property in Joseon dynas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