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학순은 1910년 일제의 소위 ‘은사금’ 수령을 거부하고 자결한 순국지사이다. 이학순의 자결순국은 아들인 이내수에게도 영향을 미쳤고, 이내수가 독립운동을 시작한 계기였다. 2대에 걸쳐 父子가 민족운동을 벌인 대표적인 사례이다. 이학순은 1843년 충남 공주에서 태어났으며, 김장생과 송시열의 학통을 잇는 기호유림이었다. 이학순은 조선후기 유학자들의 중심 논리인 衛正斥邪思想을 견지했으며, 동학이나 개화사상을 異端으로 취급했고, 排斥의 대상으로 여겼다. 燦明學校 설립반대운동은 그의 사상적 특징을 보여준 것이었다. 찬명학교는 김장생을 배향한 遯巖書院에 설립된 학교였다. 이학순은 尊華攘夷論과 義理論에 철저한 유학자였다. 이학순에게 찬명학교 설립은 절대로 용납할 수 없었던 것이다. 그가 일제의 은사금을 거부하고 자결 순국한 것도 이러한 사상에서 연유한 것이었다. 이학순은 1910년 한일강제병합이 되자 自靖의 길을 선택했다. 그러나 일제는 이학순에게 은사금 수령을 강요했고 1910년 12월 7일(음) 飮毒自決했다. 일제에게 나라를 빼앗긴 현실에서 ‘자결’을 통해 의리와 지조를 지키는 길을 선택했던 것이다. 이내수는 이학순의 장남이다. 그는 이학순의 사상과 항일의식을 계승해 독립운동을 시작했다. 이내수는 1913년 7월 마을의 民籍을 불태운 사건으로 투옥중 郭漢一을 만났다. 곽한일은 독립의군부의 핵심적인 인물이었고, 이내수를 독립의군부에 참여시켰다. 이내수는 1916년 연산 자신의 집에서 李容珪ㆍ李晩稙ㆍ尹炳日ㆍ田容圭 등과 의병봉기를 추진했다. 당시 이내수는 독립의군부 활동을 지속하고 있었고, 독립의군부 참여 목적인 의병봉기를 추진했던 것이다. 이내수는 3ㆍ1 운동 후 ‘순종복위소’를 올렸으며, 한성임시정수 수립을 위한 국민대표회의에서 유림을 대표해 13도 대표로 추대되었다. 또한 조선민족대동단의 민족대표 33인에도 선정되었다. 독립의군부 활동의 결과였다. 당시 이내수는 김복한이 주도한 파리장서에도 서명했다. 이내수는 이학순의 순국 후 김복한ㆍ임한주ㆍ유호근 등 홍주의병에 참여했던 의병장들과 두터운 친분을 유지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내수는 1919년 조직된 조선독립단을 이끌기도 했다. 이내수는 1921년 5월경 조선독립단의 책임을 맡아 전라도ㆍ경상도ㆍ충청도 일대에서 자금 모집을 벌였다. 조선독립단은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지원하기 위한 비밀결사였다. 하지만 이내수의 조선독립단 활동은 일제로부터 나라를 구하기 위한 방략이었다.


Lee, Haksoon is a patriot who committed suicide for the country, and denied to receive so-called ‘Kirogum’ in 1910. His suicide for the country influenced his son, Lee, Naesoo, and served a momentum for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Lee, Naesoo. This became the classic example of two generations’ independence movement. Lee, Haksoon was born at Kongju, Chungnam in 1843 and succeeded the scholastic mantle of Kim, Jangsang and Song, Siyual’s Kiho Confucians. Lee, Haksoon maintained Wijungchucksa which was the main logic of late Chosun’s Confucians, and treated Donghak and the Enlightenment as heretical. His rejection on the Chanmyung School which was established by Doon-am memorial hall for Confucianist shows his ideological peculiarity. He was a deep-dyed confucian scholar who emphasized Jon-wha-chuck-ee and fidelity. For Lee, Haksoon, establishment of the Chanmyung School could not be allowed. And in the same context, he rejected a royal bounty from the Japanese empire and committed suicide. In 1910, after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he choose a life in seclusion, but the Japanese empire forced to receive a royal bounty and he committed suicide by taking poison in Dec. 7, 1910. He choose suicide to be faithful to his principles and fidelity. Lee, Naesoo was the eldest son of Lee, Haksoon and succeeded his father’s ideology and anti-Japanese thought. When imprisoned due to burning the census registration in July, 1913, he met Kwak, Hanil. Kwak, Hanil was a key figure of the Donglipeegunbu and enlisted him in the Donglipeegunbu. In 1916, he planned to raise an army in the cause of justice with Lee, Yongkyu, Lee, Manjik, Youn, Byungil and Jeon, Yongkyu. At that time, Lee, Naesoo was actively engaged in the Donglipeegunbu to raise an army. After 3.1 Movement, Lee, Naesoo submitted a letter for restoration of the emperor, SoonJong and was inducted into a representative of 13 Province for the Confucians. Also, he was nominated for one of 33 racial representative as a result of activity in the Donglipeegunbu. At that time, Lee, Naesoo signed the Pari-Jang-seo which was initiated by Kim, Bokhan. After his father’s patriotic martyrs for the country, he solidified his friendship with Kim, Bokhan, Lim, Hanju and You, Hokeun who were participated in the Heungju army in the cause of justice. Lee, Naesoo led the Chosundongnimdan which was organized in 1919 for support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 and collected funds in Jeolla, Gyeongsang and Chungcheong Provinces as a leader of the Chosundongnimdan in May, 1921. Lee, Naesoo participated in the Chosundongnimdan to save the country from the Japanese empire, however, he did not acknowledge the Provisional Gover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