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徐有本은 徐命膺에서 徐浩修‧徐瀅修로 이어지는 조선후기 達城 徐氏家의 학문과 사상을 밝히는 데 중요한 인물이다. 뿐만 아니라 서유본은 柳琴, 金泳, 柳僖 등 당대의 내로라하는 天文曆算學家들과 교유했기 때문에 그에 대한 연구는 조선후기 과학사의 실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도 필요한 작업이다. 서유본의 학문적 배경과 관련해서 먼저 주목되는 것은 서명응 이래 달성 서씨가의 家學이다. 서명응의 象數學, 서호수의 周髀幾何學‧천문역산학‧律呂學, 서형수의 經學은 달성 서씨가의 학문적 진면목을 보여준다. 그리고 거기에서 西學과 考證學의 강한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다. 서유본의 학문을 논할 때 西學을 함유하고 있는 가학과 함께 고려해야 할 요소가 ‘北學’이다. 그와 교유했던 당대의 명사들 가운데는 朴齊家, 柳琴, 柳得恭, 成大中, 李喜經 등 ‘북학파’ 인물들이 많았다. 서유본의 집안에는 북학의 영향을 엿볼 수 있는 각종 서적과 기구들이 수장되어 있었으니, 마테오 리치(Matteo Ricci)의 『幾何原本』이나 『渾蓋通憲圖說』 등과 같은 西學書가 그 대표적인 예이다. 이러한 학문관의 기초 위에서 서유본은 ‘象數學’ 내지 ‘度數之學’에 관심을 기울였다. 그가 말하는 상수학은 周易象數學이라기보다는 ‘角度入線’으로 대변되는 수학과 천문역산학에 가까웠고, ‘도수지학’은 각종 사물의 이름과 형체‧성질 및 구체적 도수를 밝히는 ‘名物度數之學’을 뜻하는 것이었다. 서유본은 ‘曆數’를 중시했다. 역수란 ‘數’로 日月星辰이 운행하는 도수인 ‘曆’을 기록하는 것이다. 그는 일체의 자연현상이 역수에서 벗어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서유본은 조부 서명응의 논지를 계승해서 北極高度를 측정하는 것이 曆法을 작성하는 기본이라고 주장했으며, 당시 유행하고 있던 ‘東國分野’의 문제에 대해서도 관심을 기울였다. 서유본은 손수 璿璣玉衡을 제작하기도 했다. 그는 선기옥형을 하늘의 형체를 파악하기 위한 기구로서만이 아니라 천체의 운행을 관측하는 기구로서 중요시 했다. 실제로 서유본은 자신이 제작한 선기옥형을 이용해서 ‘測驗’을 했고, 구체적인 관측방법에 대해서도 상세히 설명하였다. 서유본은 자신이 평생토록 ‘實事求是’ 네 글자를 몹시 좋아한다고 토로한 바 있다. 자연학과 관련된 논의에서도 서유본의 이러한 자세를 엿볼 수 있다.


Seo Yubon(徐有本) was an important person to understand the scholarship and ideology of Dalsung Seo Family, which began from Seo Myeongeung(徐命膺) and continued by Seo Hosu(徐浩修) and Seo Hyeongsu(徐瀅修) in late Joseon dynasty. Seo Yubon also communicated with the prominent scholars of the contemporary astronomy and calendrical science, such as Ryu Geum(柳琴), Kim Yeong(金泳), and Ryu Hui(柳僖), which makes him more important in understanding the history of science of late Joseon dynasty. The first element to emphasize its significance in Seo Yubon’s intellectual backgrounds was his familiar scholarly lineage. Seo Myeongeung’s xingshuxue, Seo Hosu’s zhoubijihexue, astronomy and calendrical science, luluxue, and Seo Hyeongsu’s jingxue revealed the true achievements of the Seo family. In addition, there showed a strong influence of Western Learning and the Evidential Learning (documental archaeology). Another element one should take into account when discuss Seo Yubon’s scholarship is ‘beixue(Northern Learning)’. His intellectual friends included many beixue scholars, such as Bak Jega(朴齊家), Ryu Geum(柳琴), Ryu Deukgong(柳得恭), Seong Daejung(成大中), and Yi Huigyeong(李喜經). Also, Seo family had many materials of beixue influence in storage, and some of them were Matteo Ricci’s Jiheyuanben(幾何原本) and Hungaitongxiantushuo(渾蓋通憲圖說), important text books of Western Learning. Over the foundation of these studies, Seo Yubon paid attention to xingshuxue(象數學) and dushuzhixue(度數之學). His xingshuxue was not zhouyixiangshuxue(周易象數學), but closer to mathematics and astronomy and calendrical science of jiaodubaxian(角度入線). Moreover, his dushuzhixue meant mingwudushuzhixue(名物度數之學), which specified the name, physical shape and nature of all objects. Seo Yubon thought ‘lishu(曆數)’ important. Lishu was ‘shu’, which documented ‘li(曆)’, the movement of the sun, the moon, and the stars. He argued that all natural phenomena were not out of lishu. Following his grandfather Seo Myeongeung’s arguments, Seo Yubon contended that the basis of recording astronomical ephemeris was to calculate beijigaodu(the altitude of the north celestial pole; 北極高度). He also showed his interest in the then heated question of ‘dongguofenye(allocated fields of Korea; 東國風水)’. Seo Yubon also manufactured ‘xuanjiyuheng(璿璣玉衡)’ by himself. He considered that xuanjiyuheng was a crucial instrument not only to grasp the shape of sky, but also to calculate the movement of celestial objects. He actually did ‘ceyan(測驗)’ using his own xuanjiyuheng, and recorded the factual methods of observation in detail. Seo Yubon once confessed that he sincerely liked the idiom of ‘shishiqiushi(seeking of truth from facts; 實事求是)’ for all his life. His discussion of the nature a window to peek at such an attitu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