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Mehra and Prescott(1985)이 Lucas의 주식가격 결정모형을 기초로 도출한 이론적 주식프리미엄이 0.35%에 불과하여 1889〜1978년간 주식 수익률과 단기명목채권 수익률간에 관측된 실제치인 6.18%를 합리적으로 설명할 수 없음을 제기한 이후 ‘주식 프리미엄 퍼즐(equity premium puzzle)’을 해결하기 위해 지난 20년간 많은 연구와 부분적인 성과가 진척되었으나 이를 완전히 설명하지는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식 프리미엄을 설명하기 위해 Svesson(1985)이 제시한 화폐선불제약을 적용하였다. 이러한 화폐의 도입으로 주식 프리미엄은 실물적 불확실성인 배당 위험뿐만 아니라 인플레이션 위험 그리고 자산 다각화라는 세 가지 요인에 의해 결정되게 된다. 동 모형의 실증분석 결과 위험자산인 주식이 화폐를 통해 거래되는 반면 무위험자산인 단기명목채권이 신용으로 거래될수록 주식 프리미엄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주식 프리미엄 퍼즐을 해결하는 방안 중 하나는 각 자산의 거래에 대한 유동성 제약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Over the ninety year period between 1889 and 1978, the average observed equity premium which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average return on equity and on Treasury bills was about 6.18 percent. However, Mehra and Prescott(1985) obtain 0.35 percent as the equity premium in an artificial economy, which is the difference of the average return on equity and the average return on discount bond, and show that the equity premium in U.S economy cannot be accounted for by an Arrow-Debreu general equilibrium model. They call this the equity premium puzzle. This paper introduces Svensson's cash-in-advance constraint and its variations in an artificial economy and see the size of equity premium in each case. The equity premium in the economies is determined by three factors, namely dividend risk, inflation risk and asset diversification. The simulation result shows that the equity premium is the greatest when risk free asset is traded by credit and equity is exchanged by ca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