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瑜伽師地論에 한정하여 자토석독구결 자료 권20과 점토석독구결 자료 권5·8을 서로 비교하여 ‘如’에 호응하는 점토가 어떠한 자토에 대응되는지 살펴보았다. 자토 유가사지론 권20에서 ‘如’자 뒤에는 ‘’와 ‘’가 현토되고, ‘{如}’ 앞에는 어떤 격조사도 취하지 않는 명사나 명사 상당 어구가 오고, ‘如’ 앞에는 대격 ‘’을 취하는 논항 성분이 온다. ‘{如}’나 ‘如’ 다음에는 ‘-’가 오는 경우도 있고, 오지 않는 경우도 있다. 점토 유가사지론 권5·8에서 ‘’는 [11(·)]으로 현토되고, ‘’은 [32~42(·)]으로 현토되는데 ‘如’에 호응하여 이들이 현토된 경우에 그 통사적 환경은 자토구결과 동일하다. 자토구결에서 명사가 목적어로 올 때는 ‘’이 현토되고 동사구가 목적어로 올 때는 ‘’, ‘’, ‘’, ‘’ 등이 현토된다. 점토구결에서는 전자의 경우에 [34(·)]이 규칙적으로 현토되고, 후자의 경우에 [45(\)#44~45(\)], [+45(\)#45(\)], [45(/)#44~ 45(/)], [+45(/)#45(/)] 등이 규칙적으로 현토된다. 문제는 점토구결에서 ‘如’가 이와 같은 대격 논항들을 취함에도 불구하고 ‘如’에 호응하는 점토가 [32~42(·)]이 아니라 [11(/)]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는 점이다. 이제까지 유가사지론 점토구결에서는 동일한 자토를 나타내기 위해서 두 개의 점토를 이용한 경우가 없었기 때문이다. 점토 [32~42(·)]이 자토 ‘’에 대응된다면 점토 [11(/)]은 다른 자토에 대응될 가능성이 높다. [11(/)]은 주로 “如A B 亦 尒” 구문에 현토되었다. 자토구결에서 이는 “A(x) {如} B() 亦 尒()-”로 현토된다. 점토구결에는 [11(\)]도 발견된다. “如 前 說” 구문에 현토되었는데 이는 자토구결에서 “前 說{如}-” 구문에 대응한다. 이런 점들을 고려하여 본고는 ‘[11(/)]=’, ‘[11(\)]=’로 추정하였다.



本考は瑜伽師地論に限定して字吐釋讀口訣資料卷20と点吐釋讀口訣資料卷5·8とを比較し、‘如’に呼応する点吐がどのような字吐に對応するかを調べた。字吐瑜伽師地論卷20で‘如’の字の後には‘’と‘’が表われ、‘{如}’の前にはいかなる格助詞もとらない名詞や名詞相当語句が來る。また,‘如’の前には對格‘’を取る論項成分が來る。‘{如}’や‘如’の次には‘-’が來る場合もあり,來ない場合もある。点吐瑜伽師地論卷5·8で‘’は[11(·)]と表われ、‘’は[32~42(·)]と表われるが、‘如’に呼応してこれらが表われた場合はその統辭的環境は字吐口訣と同一である。字吐口訣で名詞が目的語となる時は‘’で表記されるが、動詞句が目的語となる時は‘’,‘’,‘’,‘’などに表記される。点吐口訣では前者の場合は、[34(·)]が規則的に表われ、後者の場合は[45(\)#44~45(\)],[+45(\)#45(\)],[45(/)#44~45(/)],[+45(/)#45(/)]などが規則的に表われる。問題は点吐口訣で‘如’がこのような對格論項等を取るにもかかわらず‘如’に呼応する点吐が[32~42(·)]でなく、[11(/)]と表れる場合があるということである。今まで瑜伽師地論の点吐口訣では、同じ字吐を表わすために二つの点吐を利用した場合がなかったからである。点吐[32~42(·)]が字吐‘’に對応したら、点吐[11(/)]は他の字吐に對応する可能性が高いと思う。[11(/)]は主に“如A B 亦 尒”の構文に表われた。これは字吐口訣で“A(x) {如} B() 亦 尒()-”の構文に對応する。点吐口訣には[11(\)]も目につく。“如 前 說”の構文に表記されたが、これは字吐口訣で“前 說{如}-”の構文に對応する。このようないくつかの点を根據として本考は‘[11(/)]=’,‘[11(\)]=’と推定し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