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현존 향가에 나타난 佛典 계통의 시어가 지닌 다양한 층위를 고려하여 이들 각자의 동질성과 이질성을 파악하고, 이를 당시 종교계의 언어관과 맞물려 해석할 단서를 마련하고자 한다. 불교와 직접적으로 연관된 용어로는 <풍요>의 ‘공덕’이 비교적 이른 시기에 등장한다. <풍요>가 집단 창자에 의해 향유된 만큼 여기서의 ‘공덕’은 각자의 개성보다는 보편적 공감의 토대 위에서 이해되었다. 그러나 인접한 시기의 <원왕생가>에서 ‘왕생’과 ‘48대원’의 의미는 화자 광덕과 엄장 각자에게 완전히 같지는 않았다. 광덕에게는 이들이 믿음의 보상이었다면, 엄장에게는 참회의 이유가 된다. 이는 광덕에게 참회의 체험이 없었지만 엄장에게는 있었기 때문이었다. 한편 현존 최고의 향가 <혜성가>에는 ‘건달바’라는, 이국적인 용어로써 음악의 신을 지칭한 사례가 있다. 이렇게 불교의 범위를 벗어난 창작과 향유의 시·공간이 불교에 포섭, 전환하는 사례는 8세기의 월명사에게서도 보인다. 요컨대 7세기 향가에서 불전 계통의 시어가 활용됨으로써 중의적 표현과 분별의 초월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리라는 가설을 세울 수 있을 텐데, 이는 원측과 의상, 균여 등 7-10세기 사상가의 저술에서 종교의 수행과 전파를 위한 언어 표현과 수사를 확립하기 위해 고심했던 문제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In Hyangga, there are several poetic words from Sutra. They have various levels and meanings to research. The group speakers used some words like charity and mercy, which have universal meaning in Buddhism. But in Wonwangsaengga, the meaning of the rebirth(往生) is different to some speakers. whether speaker have experience of penance or not, the meaning and value of the rebirth and the poem will be different. By the way, there is a possibility that Gandharva in Hyeseongga was an old figure of Silla. It named after the muse of ancient India, because of its presumed role of music in old Silla. Using poetic words from Sutra was based on the text of thoughts of two philosophers, Wonchek(圓測) and Wisang(義相). Wonchek searched for the possibility of coexistence between two thoughts in opposition, and Wisang expressed the awareness of transcendence of time and space. By their idea, there are the expressions about the coexistence of different meanings and the thoughts and awareness of transcendence in Hyangga t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