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기존 따비에 관한 연구는 따비로서는 異形式이라 할 수 있는 嶺南式 외날따비에 집중되고, 일부 고대 경제사 분야의 경우 그 등장을 농구철기화라는 측면과 타 지역에서 나타나지 않는 한반도 특유의 농구라는 측면에서 명확한 검증 없이지나치게 과대평가하기도 하였다. 이에 본문에서는 단편적으로 지적되어오던 한반도 각 지역 따비의 형식을 민속자료와의 비교를 통하여 명확히 하고 그 시·공간적 전개과정을 정리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한반도의 고대 따비를 송곳형, 주걱형, 영남식 외날따비로 대분류하고 송곳형과 주걱형은 재차 외날과쌍날로 세분하였으며, 이후 민속자료와의 비교·검토를 통하여 철착, 주조철부, 선형철부 등이 이에 해당하는 것으로설정하였다. 또한 지금까지 기경구로 파악되어온 영남식 외날따비의 경우, 그 형태의 역학적 관점과 재래따비 중 이러한 형태가 보이지 않는 점 등에 착안하여 인걸이(人挽犁)로서의 기능과 용도를 부여하였다. 또 따비의 제 형식 중 비교적 안정된 출토량을 보이는 영남식 외날따비를 구체적으로 검토하였다. 우선 따비로 통칭되어온 것에 대하여 영남이라는 공간적 출토범위를 명확히 하고 기존연구에서 지적되어온 크기와 병부 착장각도의 시간적 변화 속성에 따비인부 단면이라는 속성을 더하여 그 구체적 변천과정을 재검토함으로써 목관묘 등장시기부터 대략5세기 전반대까지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고 변화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영남 외 지역의 출토 예를 검토하여 그 시간적 위치와 영남지역 출토품과의 관련성 등을 추급하였다. 특히 일본 島根縣 出雲市 西谷 16號墓 출토품의 경우, 그 묘제와 따비의 형태적 특징으로 보았을 때 漆谷 深川里유적과의 깊은 관련성이 상정되는데, 이는 부산, 김해지역이나 北部九州를 거치지 않은 동해루트를 통한 한일 교섭이라는 측면에서 크게 주목된다.


Existing studies of ancient iron weeder-plows have focused largely on the Yeongnam style single-edged plow, which is in fact a distinctive type of iron weeder-plow. It can be argued that previous studies have over-interpreted this artifact type, given that the transition to iron in the manufacture of iron tools has not been clearly verified, as well as the fact that the plow of the Yeongnam region was not a uniquely Korean tool. In this article, each of the regional forms of Korean iron weeder-plows, which have only been dealt with fragmentarily,is clarified through comparison with folk evidence, and their spatial and temporal trajectories are identified. Specifically, there are three forms of ancient Korean iron weeder-plows: the awl type, the rice-paddle type, and the Yeongnam style single-edged plow. Awl type and rice-paddle type weeder-plows can be further classified into single-edged and double-edged plows. It was suggested that the Yeongnam style, single-edged plow, known to be a cultivating tool, was pulled by a human, because none of the conventional iron weeder-plows had the form of the Yeongnam style iron weeder plow. The Yeongnam style single-edged plow, the discovery of which has been relatively stable,is examined in detail. Firstly, it is confirmed that the plow was mainly excavated in the Yeongnam region, thereby confirming the validity of the name given to this type of iron weeder-plow. By reviewing its specific transition process, focusing on size and characteristic features, it is observed that the tool changed with regularity from the advent of wooden coffin burials to the early 5th century AD. Excavations undertaken in areas other than the Yeongnam region were examined. Iron weeder-plows from these sites were considered in relation to those excavated in the Yeongnam region and their temporal positions were discussed. In particular, the excavated artifact from Nisitani Tomb No. 16, in Izumo, Shimane, Japan, was thought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site of Simcheon-ri, in Chilgok, in terms of the nature of the tomb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ron weeder-plow. This is a significant point, since it suggests that the Yeongnam style single-edged plow was transmitted from Korea to Japan via the East coast,and not via the usual route through Busan, Gimhae or Hokbukyush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