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측우기라는 표준화된 관측기구를 이용한 조선의 우량 측정 및 보고 시스템은 동아시아 왕조 국가에서 자연 현상의 측정이 어떤 동기에서,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졌는지 살펴볼 수 있는 흔치 않은 사례이다. 이 논문에서는 세종의 측우기 제도를 복원한 영조, 이를 확대 강화한 정조 대에 초점을 맞추어, 측우기를 이용한 우량 측정 및 그 관측치가 당시의 정치와 행정에서 어떤 기능을 수행했는지 살펴본다. 특히 강우에 관한 조정의 관심이 집중적으로 표출된 농정과 기우제의 상황(그 중에서도 1782년 정조가 거행한 기우제)을 검토함으로써, 다음 두 가지를 주장하려 한다. (1) 측우기 제도를 부활하고 강화시킨 두 임금의 시도에는 농정에서 지방관, 특히 팔도 감사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고 경천근민하는 군주로서 자신의 도덕적 권위를 확립하려는 두 임금의 욕망이 반영되었다. (2) 하지만, 강우 현상을 “객관적” 수치로 측정 • 보고하는 일견 ‘근대적’ 제도는 역설적으로 조선 왕권의 취약성, 지방관의 농업 행정, 지역의 농업 상황에 대한 군주와 중앙 조정의 무지의 반영이었으며, 1782년 기우제의 사례에서 드러나듯 측우기의 “객관성”은 도리어 국왕의 정치적 이해를 훼손할 가능성도 있었다.


In spite of its high popularity in Korean society as one of the brilliant scientific inventions in Korean history, the Rain-measuring Utensil (cheugugi 測雨器) is still not an object properly examined by historians of science. While rich documents are yet to be studied, previous research about the uses of this artifact in Joseon society has been sharply divided into two opposing positions. According to the majority opinion, the Utensil was an instrument for ‘scientific’ meteorology, providing rainfall data to be processed ‘statistically’ and then to be used for rationalizing the state agricultural policy. A minority of researchers alternatively suggests that the Utensil performed mainly a politico-ritual function, measuring the rainfall as heavenly messages to the throne. The cases of the late 18th century, however, shows that the Utensil played much more complex roles than suggested in both the two positions. While the Utensil symbolized the king’s priestly power in context of the state rituals for rain, it also provided the kings with a means to control local officials by imposing upon them a standard protocol for their rainfall reports of the provinces. How well did then the instrument perform the multiple roles assigned by the king? Cases in late 18th century tell that the instrument did not guarantee the political effect the king expected. The instrument was not a reflection of royal power, this paper argues, but was rather a product of the lack of 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