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글은 17세기 말부터 18세기 초까지 조선의 사상적 흐름을 ‘중화계승의식’의 형성이라는 관점 속에서 살펴본 것이다. 조선후기의 사상적 흐름은 시각에 따라서 다양하게 파악될 수 있겠지만 기본적으로는 17세기 이후 조선이 놓여있던 현실적인 조건 위에서 전개되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병자호란과 명청교체는 기존 명나라 중심의 동아시아 질서를 근본적으로 뒤흔든 사건이었기 때문에 새로운 역사적 상황 속에서 조선의 존립근거와 위상을 확보하려는 조선 지배층의 사상적인 노력은 다각도로 경주될 수밖에 없었다. 우선, 명나라의 멸망으로부터 오래 지나지 않은 17세기 후반까지는 명나라의 회복을 기대하는 ‘중화회복의식’을 통해 기존 질서의 회복을 기대하였지만 명나라의 회복 가능성이 희미해진 17세기 말에 들어서는 정치적인 의미에서의 중화 회복을 기대하기보다는 유교 문화적인 차원에서 조선을 중화문물의 ‘유일하고 정당한 계승자’로 규정하는 인식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정치적으로나 문화적으로 명나라가 독점하고 있던 중화의 위상을 문화적인 차원에 국한해서지만 조선에게 부여함으로써 전통적인 화이관에 입각한 동아시아 질서를 관념 속에서나마 유지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17세기 말 이후로 ‘중화계승의식’은 대보단의 건립 등 각종의 기념사업으로 구체화되면서 조선 사회의 여러 방면에 다양한 형태로 영향을 주기 시작하였는데 특히 역사이해의 측면에서는 ‘정통론’의 강화라는 흐름으로 이어졌다. 綱目으로 체계화된 주희의 정통론이 단지 과거 정권의 정당성 여부만을 논의한 것이 아니라 과거의 정권을 빗대어서 금나라의 정통성을 부정하려는데 그 의도가 있었듯이 조선의 지배층들에게 주희의 정통론은 청나라의 현실적인 지배를 정당화하지 않는 인식의 학문적 투영이 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자국사의 정통을 기자조선으로부터 기준의 마한으로 잇는 논리였던 ‘馬韓正統論’ 역시 과거의 역사 속에서 위만조선을 정통으로 인정하지 않음으로써 현실의 청나라를 정통으로 인정하지 않으려던 인식을 드러낸 것이었다. 한편 같은 시기 明史綱目의 저술은 ‘중화의 유일한 계승자’인 조선만이 명나라의 역사서를 편찬할 수 있다는 인식의 결과물이라는 점에서 ‘중화계승의식’의 직접적인 산물로서 그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Having admitted Sinocentric world order as a ordinary and desirable order for 200 years since its foundation in 1392, Joseon dynasty's ruling class felt so hard to accept that the Chinese Ming was replaced by the barbarian Jurchen Qing after 1644. They had to explain this unprecedented situation without changing or abandon their traditional notion on Sinocentric world order. Most of them thought that the heaven and earth was turned over for a while and believed that the Chinese Ming would be restored immediately after a short chaos time. But desire of restoration of Ming dynasty could not be persisted in late of 17th century, because as times went by, possibility of restoration of Ming dynasty was gradually disappeared, and Qing regime was more stabilized. In this changed condition, Joseon dynasty's ruling class tried to find another explanation way that did not deny or abolish their traditional notion on Sinocentric world order. So they came to consider Joseon dynasty as the only proper successor of Confucian culture instead of Ming dynasty which did not exist any more. This means that Sinocentric world order which place Joseon in the center instead of Ming still exist. We can name this new changed notion as the ‘Notion on Confucian-Cultural Succession' Notion on Sino-Cultural Succession gave great influence on several parts of Joseon society. Joseon Court made Daebodan(大報壇) where king of Joseon perform ancestral worship to emperor of Ming to reveal that Joseon was the only proper successor of Ming. At the same time, many ruling class figures reinforced Chu Hsi's Discourse on Legitimate Succession of Dynasty Order in Chinese history which used in Tzu-chih t'ung-chien kang-mu(資治通鑑綱目) not to ascertain legitimate status of Qing regime within the Chinese dynasty order. Discourse on Mahan Legitimate Succession of Dynasty Order in Korean history(馬韓正統論) and compilation of Myungsagangmok(明史綱目) were representative two results of Discourse on Legitimate Succession of Dynasty Order in Chinese history, from late of 17th to early of 18th century, Jose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