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국어 한자어의 어휘 범주가 결정되는 데 한자어의 내적 구조가 일정 정도 반영된다는 가정 하에 이들 사이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먼저 한자어의 내적 구조를 기본 구조(주어+서술어, 서술어+목적어, 서술어+보어), 수식 구조(관형어+명사, 부사어+서술어), 병렬 구조(명사+명사, 형용사+형용사, 동사+동사)로 나누고, 이들의 어휘 범주를 알아보기 위해 ‘하다, 이다’와의 결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하다’와의 결합 가능성은 선행어의 서술성을 의미하고 ‘이다’와의 결합 가능성은 선행어의 명사성을 의미한다. 그 결과 한자어 내부 성분이 일관성을 띠면서 한자어의 어휘 범주에 반영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기본 구조나 수식 구조에서는 중심어라고 할 수 있는 서술어의 자질이 전체 한자어에 일정 정도 반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어+서술어, 서술어+목적어, 서술어+보어 구성의 서술어가 동사인 경우 [+하다, +이다] 결합 양상을 보이며(‘기절, 방학, 귀가’ 등), 부사어+동사 구성의 ‘독립, 자살’ 등도 동일한 결합 양상을 보인다. 병렬 구조에서도 동사가 병렬될 때(‘연애, 실패’ 등) [+하다, +이다] 결합 양상을 보인다. 그러나 서술어가 형용사인 경우는 [+하다, -이다] 결합 양상을 보여 어근으로 쓰이는 것이 일반적이다. 주어+서술어 구성의 ‘심란, 야심’ 등이 이에 해당하며, 부사어+서술어 구성의 ‘자족, 자명’, 형용사+형용사 구성의 ‘귀중, 신선’ 등이 이에 속한다. 병렬 구조에서는 두 요소의 내부 성분뿐만 아니라 의미적 특성이 반영되어 나타났다. ‘형용사+형용사’ 구성은 ‘명암, 장단, 고저’ 등과 같이 정도반의어 관계를 형성하면 [-하다, +이다] 양상을 보이고 ‘귀중, 위대’ 등 그런 관계에 있지 않을 때에는 [+하다, -이다] 결합 양상을 보여 어근으로 쓰인다. ‘동사+동사’ 구성은 ‘출입, 거래, 매매’와 같이 구성 요소가 방향대립어 또는 관점대립어 관계를 형성하면 행위의 반복적 표현이 가능하여 [+하다, +이다] 결합이 가능하고, ‘생사, 사활’처럼 상보대립어 관계에 있으면 [-하다, +이다] 결합 양상을 보인다.


This paper aims to find ou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exical category and internal structure of Sino-Korean. We classified the internal structure of Sino-Korean into Basic Structure(Subject+Predicate, Predicate+Object, Predicate+Complement), Modified Structure (Adnominal+Noun, Adverbial+Predicate), Coordinate Structure(Noun+Noun, Adjective+ Adjective, Verb+Verb). And then we have tested them for the possibility of combination with ‘ida’ and ‘hada’. The combinatorial possibility with ‘hada’ shows the predicativity of the preceding Sino-Korean, and the combinatorial possibility with ‘ida’ shows the nounyness of them. In result, we ascertained that the internal structure and elements of Sino-Korean determined comprehensively the lexical category of them. With respect to Basic structure, Modified Structure, the grammatical feature of predicate which is a head determined the lexical category of the whole word. In the Subject+Predicate, Predicate+Object, Predicate +Complement, and Adverbial+Predicate constructions, when the predicate is a verb the whole word showed the pattern of [+hada, +ida]. In Coordinate structure, when it is a Verb+Verb construction, it showed the same pattern. But when the predicate is an adjective, it shows the pattern of [+hada, -ida]. In Coordinate structure, both the lexical category and semantic relations of internal elements have an decisive effect on the lexical category of the whole word. Adjective+ Adjective construction shows the pattern of [-hada, +ida] when the internal elements are in the antonymous relation with each other, and the pattern of [+hada, -ida] when they are not antonymous. Verb+Verb construction shows the pattern of [+hada, +ida] when the internal elements are in the reverse or converse relation with each other, and the pattern of [-hada, +ida] when the internal elements are in the complementary relation with each other.